문형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구문 분석

Korean Syntax Analysis Using Sentence Pattern Information

  • 한용기 (군산전문대학 전자계산과) ;
  • 황이규 (전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 이용석 (전북대학교 컴퓨터과학과)
  • Han, Yong-Gi (Dept. of Computer Science, Kunsan Junior College) ;
  • Hwang, Yi-Gyu (Dept of Computer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ng-Seok (Dept of Computer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5.10.07

초록

대부분의 한국어 구문 분석은 용언과 명사구 사이의 하위범주화 정보를 이용하여 용언에 대한 명사구의 문법적 역할을 밝히는 방향으로 구문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이용된 용언의 하위 범주화 정보가 단지 자릿수 서술어나 형용사, 자동사, 타동사 등으로 분류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구문 모호성이 많이 발생하고 틀린 문장이 구문적으로 옳기 때문에 옳은 문장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용언에 따른 문장 형태(문형)를 세분류하고 문장에 필수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NP[case])와 수의적으로 나타나는 명사구(NP[case])를 분류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확장된 PATR II로 문법을 기술하여 동적인 파싱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문형 정보는 한국어의 기본 구조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자체를 기계번역을 위한 한국어 문법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