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linical Study on B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양측성대마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광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홍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흥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조정일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세헌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Published : 1996.11.01

Abstract

1986년 10월부터 1996년 8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환자로서 문진, 이학적검사 및 방사선학적검사에 의하여 양측성대마비로 진단된 47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주증상, 성대마비의 원인 및 치료경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성별은 남자가 34례(72%), 여자가 13례(28%)였고 연령별로는 20대에서 60대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46세였다. 주증상이 호흡곤란이었던 경우가 22례(47%)로 가장 많았고 애성이 19례(40%)로 그 다음 순이었다. 성대마비의 원인별로 보면, 중추성이 4례(9%)였고, 나머지는 말초성으로 이중 비수술적 외상에 의한 경우가 15례(32%)로 가장 많았고 수술적 외상이 10례(21%), 특발성이 9례(19%), 기도내 삽관이 5례(11%)였으며, 이외에도 염증성요인에 의한 것이 2례, 갑상선종양에 의한 것이 1례, 그리고 중증근무력증에 의한 것이 1례이었다. 양측성대마비에 대한 치료로서 기관절개술이 13례(28%), 피열연골절제술이 13례(28%)에서 행해졌으며 이중 술후 완전탈관이 가능하였던 경우는 기관절개술을 시행하였던 경우에 6례(46%), 피열연골절제술을 시행하였던 경우에 9례(69%)였고 수술후 완전탈관까지의 기간은 기관절개술의 경우 평균 18개월, 피열연골절제술의 경우 평균 3개월이었다. 이외 보존적 치료가 20례(43%)에서 행해졌으며 이중 2례는 자연치유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