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Voice Assessment by Dr. Speech Science and Psychoacoustic Examination

Dr. Speech Science를 이용한 객관적인 음성평가와 청각심리적 음성평가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이지은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음성언어치료실) ;
  • 장용주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음성언어치료실) ;
  • 이정구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음성언어치료실)
  • Published : 1996.11.01

Abstract

객관적인 검사도구인 Dr. Speech Science(DSS)의 음성평가 결과가 갖는 의미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하였다. 성대결절환자 여자 성인 25명을 대상으로 DSS를 이용한 음성평가와 청각심리적 검사방법인 GRBAS와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청각심리적 검사인 GRBAS의 0, 1, 2, 3의 각 Grade에 따라 DSS의 음성평가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DSS의 음성평가 결과로서 Grade가 0, 1, 2인 경우 총 15례중 1례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있어서 hoarseness, harshness, breathiness항목에서 정상소견을 나타냈으며 Grade가 3인 경우에는 총 10례 중 6례에서 hoarseness, harshness, breathiness항목에서 정상소견을 나머지 4례에서는 hoarseness에서 slight한 정도를 보여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