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Predicate/Arguments Syntactico-Semantic Relation for the Extension of a Korean Grammar Checker

한국어 문법 검사기의 기능 확장을 위한 서술어와 논항의 통사.의미적 관계 분석

  • Nam, Hyeon-Suk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on, Hun-Seok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ong-Pil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Park, Yong-Uk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o, Gil-Ja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Gwon, Hyeok-Cheol (AI Laboratory,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 남현숙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 손훈석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 최성필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 박용욱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 소길자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 권혁철 (부산대학교 전자계산학과 인공지능 연구실)
  • Published : 1997.10.10

Abstract

언어의 내적 특성을 반영하는 의미 문체의 검사 및 교정은 언어의 형태적인 면과 관련있는 단순한 철자 검사 및 교정에 비해 더 난해하고 복잡한 양상을 띤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의미 정보를 이용한 명사 분류 방법은 의미와 문체 오류의 포착과 수정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이다. 이 논문은 문맥상 용법이 어긋나는 서술어를 교정하기 위해 명사 의미 분류방법을 서술어/논항의 통사 의미적 관계 분석에 이용하여 의미 규칙을 세우는 과정을 서술한다. 여기서 논항인 명사의 의미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시소러스 기법과 의미망을 응용한다. 서술어와 논항 사이의 통사 의미적 관계에 따라 의미 문체 오류를 검사하고 교정함으로써 규칙들을 일반화하여 구축하게 하고 이미 존재하고 있는 규칙을 단순화함으로써 한국어 문법 검사기의 기능을 보완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