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착용전후 모음의 음향학적 특성과 말 명료도에 관한 연구

  • 정문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
  • 김호중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
  • 최성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음성언어의학연구소) ;
  • 표화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음성언어의학연구소) ;
  • 심현섭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
  • 최홍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 음성언어의학연구소)
  • 발행 : 1999.11.01

초록

배경 : 주로 palatal defect 환자들의 상악(maxilla)의 결손으로 인한 형태와 기능을 복구시키기 위한 보철적 재활(prosthetic rehabilitation)방법으로 쓰이는 obturator는 비음의 초래를 막고 vocal tract의 모양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palatal cancer 환자를 대상으로 말산출(speech production)에 관한 obturator 장착 효과에 대한보고는 거의 없다. 또한 모음은 자음에 비해 더 nasality에 영향을 주며 모음 삼각도의 면적크기가 말 명료도의 객관적인 측정치로 사용될 수 있다. 연구목적 : Palatal cancer 환자의 obturator 장착 전후 모음 산출 측정치를 통해 모음 삼각도의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obturator 장착이 말 명료도 개선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주는지 보고자 하였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