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트리를 이용한 한국어 화행 분석

Korean Speech Act Analysis Using Decision Tree

  • 이성욱 (서강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 연구실) ;
  • 서정연 (서강대학교 컴퓨터학과 자연어처리 연구실)
  • Lee, Song-Wook (Natural Language Processing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Sogang Univ.) ;
  • Seo, Jung-Yu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Lab., Dept. of Computer Science, Sogang Univ.)
  • 발행 : 1999.10.08

초록

담화 분석에서 화자의 의도와 대화의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화행 분석이 중요하다. 최근에 대화 말뭉치를 이용하여 화행을 결정하는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발화 특성 정보를 이용한 통계적 화행 분석과 담화 구조를 최대 엔트로피 모델에 적용한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서 발화의 어떤 특성 정보가 실제 화행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결정 트리를 이용한 본 연구는 결정트리의 분리자를 통해 어떤 정보들이 화행결정에 영향을 끼치는지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결정트리를 이용하여 화행을 결정하였으며, 현재 발화의 이전 발화 정보만을 고려한 bigram, 이전 두 발화의 화행을 고려한 trigram, 또한 담화 구조를 고려한 trigram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