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3차원적 후두 전산화 촬영을 이용한 후두질환의 진단

  • 박영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형태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송창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최혁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조승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후두의 기능으로는 하기도의 보호, 호흡, 발성, 흉강의 고정 등이 있다. 이 중 발성은 성대의 진동에 의한 성대음이 입술까지의 성도(vocal tract) 및 비강에서의 조음과 공명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후두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간접 후두경, 단순 X-선 검사, 굴곡성 후두경(flexible fiberscope), 후두원시경(telescope),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이 사용되어 왔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