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초점구문에 나타나는 초점발화의 음향음성학적 특성

  • Published : 2003.11.01

Abstract

초점에 대한 언급이 Halliday(1967)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된 이래로 초점의 개념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초점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첫째, 초점은 문맥에서 복구가 불가능한 요소를 가리킨다. 초점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언급한 Halliday (1967)에 따르면, 초점이란 신정보를 가리키며 이전 담화 문맥에서 복구할 수 없는 정보가 곧 초점이다. 둘째, 초점은 전제 (presupposition)와 대응되는 개념이다. Jackendoff(1972)에 따르면, 담화 문맥에서 이루어지는 발화는 화자와 청자 사이에 공유된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로 나뉘며, 그 중 공유된 정보가 전제이고 이에 상보적으로 대응되는 비전제 (non-presupposed)가 곧 초점이다. 셋째, 초점은 화제(topic)와 대응되는 개념이다. Sgall(1973)과 Gundel(1974)에 따르면, 하나의 발화는 문맥상 화제와 초점으로 나뉘며 화제는 흔히 문장에서 무엇에 대해 말하려고 하는가'인 반면, 초점은 발화에서 화제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서 담화에서 '화제에 대해서 서술되고 있는 바'를 나타낸다고 본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