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and Analysis of Un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Approaches for Korean Sentence Representations

한국어 문장 표현을 위한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론의 비교 및 분석

  • Young Hyun Yoo (Dept. of Computer Science Hanyang University) ;
  • Kyumin Lee (Dept. of Computer Science Hanyang University) ;
  • Minjin Jeon (Dept. of Financial Management Hanyang University) ;
  • Jii Cha (D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nyang University) ;
  • Kangsan Kim (Dept.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nyang University) ;
  • Taeuk Kim (Dept. of Computer Science Hanyang University)
  • 유영현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 이규민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 전민진 (한양대학교 파이낸스경영학과) ;
  • 차지이 (한양대학교 인공지능학과) ;
  • 김강산 (한양대학교 인공지능학과) ;
  • 김태욱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
  • Published : 2022.10.18

Abstract

문장 표현(sentence representation)은 자연어처리 분야 내의 다양한 문제 해결 및 응용 개발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도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최근 널리 도입되고 있는 사전 학습 언어 모델(pre-trained language model)로부터 도출한 문장 표현은 이방성(anisotropy)이 뚜렷한 등 그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문장 유사도(Semantic Textual Similarity; STS) 측정과 같은 태스크에서 기대 이하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조 학습(contrastive learning)을 사전 학습 언어 모델에 적용하는 연구가 문헌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존 연구들은 주로 영어 문장 표현 개선에 집중하였으며,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문장 표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ConSERT, SimCSE)을 다양한 한국어 사전 학습 언어 모델(KoBERT, KR-BERT, KLUE-BERT)에 적용하여 문장 유사도 태스크(KorSTS, KLUE-STS)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영어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관측하였다. 첫째, 사용한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 모두에서 KLUE-BERT가 KoBERT, KR-BERT보다 더 안정적이고 나은 성능을 보였다. 둘째, ConSERT에서 소개하는 여러 데이터 증강 방법 중 token shuffling 방법이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셋째, 두 가지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 모두 검증 데이터로 활용한 KLUE-STS 학습 데이터에 대해 성능이 과적합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표현 또한 영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지도 대조 학습의 적용을 통해 그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가 향후 한국어 문장 표현 연구 발전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R1F1A1074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