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Generic Color Name for Utilization of Dye Plant Resource and Cultural Succession

염료식물 자원활용 및 문화계승을 위한 관용색명의 표준화 필요성 연구

  • Youngju Kim (Forest Muse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Min-Im Cho (Forest Museum, Korea National Arboretum) ;
  • Seulgi Lee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KAIST) ;
  • Chunghee Lee (Forest Museum,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영주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 조민임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 이슬기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
  • 이정희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 Published : 2023.04.27

Abstract

지역의 역사성을 지니고 발전한 전통색은 지역 문화와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전통색은 일반적으로 관용색명으로 표현하는데, 이는 세계인의 공용어가 아니므로 우리의 천연염색을 국내외 일반인과 공유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색명(KS-계열색, RGB, CMYK)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염료재로 활용된 염료식물은 393종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료식물의 자원 활용과 그 보전적 가치를 알리고자 염료식물을 언급한 고문서 및 현대자료를 바탕으로 사용 부위, 매염제의 종류, 염색 시 발현 색상의 관용색명을 조사하였고, 이를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하여 표준화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염료식물 393종 중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은 312종이었고,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식물은 81종으로 나타났다. 염료식물의 사용 부위 정보를 가진 식물은 187종이었고, 이용부위는 식물체 전체(전초), 뿌리, 줄기(껍질), 줄기(심재), 나뭇가지, 잎, 열매(껍질), 꽃이었다. 염료식물에 활용되는 매염재는 15가지(천연 6종, 화학 9종)로 나타났다. 관용색명을 가진 염료식물 312종에서 조사된 540개 관용색명을 표준화 시키기 위하여 국가표준색상환에 대입한 결과, 표준화된 색명(KS계통색명, RGB, CMYK)을 갖는 식물은 127종, 관용색명은 있지만 표준화된 색명을 확인할 수 없는 식물은 185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염료식물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관용색명의 정보가 없는 염료식물에 대한 표준화된 색명을 찾아내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 연구과제(과제번호: KNA1-3-3, 22-3)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결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