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Use of Radioisotope Tracer Techniques to Investigate and Improve the Root Activities in Rice Plant(I) - Effect of Water Control in Soil of the Paddy Field Lacking in the Special Mineral Nutritions -

방사성(放射性) 동위체도입(同位體導入)과 그 추적기술(追跡技術)에 의(依)한 수도근계(水稻根系) 활성상(活性相)의 해명(解明)과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 - 특수성분(特殊成分) 결핍(缺乏) 답토양(沓土壤)에서의 용수조절(用水調節) 효과(效果)에 대(對)하여-(제1보)(第1報) -

  • Ahn, Hak-Soo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 Chung, Hee-Don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 Kim, Kyu-Won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 Shim, Sang-Chil (Radiation Research Institute in Agriculture Office of Atomic Energy)
  • 안학수 (원자력청 방사선 농학 연구소) ;
  • 정희돈 (원자력청 방사선 농학 연구소) ;
  • 김규원 (원자력청 방사선 농학 연구소) ;
  • 심상칠 (원자력청 방사선 농학 연구소)
  • Published : 1972.04.12

Abstract

A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factors responsible in limiting nutrient up take and root activity in low productive paddy fold. Radiosotope of phosphorus-32 was used as a trace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On yield components responsible for increase yield indicated that number of ears per panicle and ripening ratio were closely related to increase yield. 2. Root volume or root feeding area has significant influence in increasing rice yield. 3. Root volume indicative of root activity and nutrient uptake can be effected by reasonable water control. 4. The combined application of calcium, silica, and magnesium(as a fused magnesium phosphate. the Kyun-gi Chemical Co. products.) with water control, although under conditions of large amount application of nitrogen, was found to be increased the maturing rate. 5. In the plots of water control, the number of roots per one volume were less than that of the continuous flooding plots, but the weight per root was heavier than the flooding plot ones. 6. Improvement of the present native culture method could effectively increase paddy rice yield.

사질성(砂質性) 특수성분(特殊成分) 결지답토양(缺之沓土壤)에서 비약적(飛躍的)인 다수(多收)를 가져오기 위(爲)하여 다비조건하(多肥條件下)에서도 근계활력(根系活力)의 건전화(健全化)를 기(期)할 수 있고 또한 흡비상태(吸肥狀態)의 조절(調節)도 동시(同時)에 달성(達成)할 수 있는 관개수(灌漑水)의 인공적(人工的)인 조정(調整)을 위주(爲主)로 한 도장실험(圖場實驗)을 한 결과(結果)를 간추려 본 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가 있었다. 1) 본시험(本試驗)에서 증수(增收)와 직결(直結)될 수 있었던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로서는 단위면적당(單位面積當) 수수확보(穗數確保)가 가량 큰 요인(要因)이었고 그 다음은 등숙률(登熟率)이었다. 2) 근활력(根活力)과 근권(根圈)의 입체적확장(立體的擴張)은 수도(水稻)의 생산양증진(生産量增進)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다수(多收)를 위(爲)한 주요(主要)한 조건(條件)인 것으로 짐작되었다. 3) 용수(用水)의 합리적(合理的)인 조절관리(調節管理)는 근계활력(根系活力) 증진유지(增進維持) 및 근권(根圈)의 확장(擴張) 이외(以外)에도 흡비력(吸肥力) (특(特)히질소(窒素)에 대(對)한)의 조절(調節)에 주도적(主導的) 작인(作因)이된 것으로 짐작되었다. 4) 석회(石灰), 규산(硅酸), 고토(苦土) 등의 종합적투여(綜合的投與)(용인(熔燐)으로써)는 다비상태(多肥狀態)에서도 용수조절(用水調節)과 더불어 더욱 효율성(效率性)있는 등숙량화적(登熟良化的) 생육상(生育相)으로 이끌어간 것으로 보아진다. 5) 용수조절(用水調節)에 의(依)한 수도근군(水稻根群)에서는 수량적(數量的)으로 적은 편(便)이었으나 질량면(質量面)에서 훨씬 높은 수치(數値)를 시현(示顯)하였으며 상시담수구(常時湛水區)의 근군(根群)과는 완전(完全)히 반대(反對)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었다. 6) 일반농가(一般農家)의 관행재배양식(慣行栽培樣式)에 비(比)하여 앞으로 본시험답(本試驗沓)에서 시행(施行)한 개량기술(改良技術)의 체계적(體系的)인 도입(導入)을 한다면 월등(越等)한 벼증산(增産)을 가능(可能)케 할 전망(展望)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