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lerance by Electric Shock in Hippocampectomized Rats

뇌 해마가 제거된 흰쥐의 전기충격에 대한 내력(耐力)

  • Bai, Sun-Ho (Department of Physiology & Physics, Catholic Medical College) ;
  • Kim, Chul (Department of Physiology & Physics, Catholic Medical College)
  • 배선호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물리학교실) ;
  • 김철 (가톨릭대학 의학부 생리학.물리학교실)
  • Published : 1975.06.01

Abstract

A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influence of the hippocampus upon tolerance by electric shock. Forty-eight male rats were used, of which 14 rats had their hippocampal tissue on both sides removed through an opening in the parieto-occipital cortex (hippocampal group), 17 rats received damage to the parieto-occipital cortex only (cortical control group), and 17 rats served as normal control animals. After 24 hours' fasting with water ad libitum, each animal was restrained on a plate with added electric shock (4 mA A.C., 1.5 sec in a duration, and once per minute in average) to the tail for the last 24 hours without food and water. The mortality in each animal group and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dead animal during the repitition of electric shock were calculated.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ortality was lower significantly in the hippocampal group than in the two control groups. 2. The mean survival time of the dead animal was longer insignificantly in the hippocampal group than in the two control groups. The inference from the above results is that the hippocampus exerts a inhibitory influence upon tolerance by electric shock.

뇌 해마가 전기충격에 의한 내력(tolerance)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정 후두 경계 부위의 대뇌피질을 양측성으로 둥글게 떼어내고, 이를 거쳐 해마를 평균 97%가량 떼어버린 흰쥐(해마군) 14마리와 해마를 덮는 대뇌피질 부분만을 떼어버린 흰쥐(대뇌피질 대조군) 17마리 및 두개골을 노출하는데 그치고 뇌에 손상을 주지 않은 흰쥐(정상 대조군) 17마리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24시간 동안 먹이 없이 물만으로 지나게 한 다음 구금판에 세 무리를 구금하고 24시간 동안 매회 1.5초 동안씩 계속되는 4mA의 교류전류에 의한 충격을 1분 간격으로 반복하여 폐사하는 동물의 수효를 세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기충격을 가하는 동안 폐사한 동물의 수효에서 해마군의 값은 두 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었으나, 두 대조군 사이에는 이렇다 할 차가 없었다. 2. 전기충격으로 인하여 폐사한 예에서 전기충격의 시작부터 폐사할 때까지의 시간은 해마군의 값이 두 대조군의 값에 비하여 연장된 경향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뇌 해마는 전기충격에 대한 내력(耐力)에 억제적 영향을 끼친다고 추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