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cochemical Study on Soil Sickness

인삼 연작 장해의 발생 원인 구명을 위한 생태화학적 연구

  • 이춘영 (서을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임선욱 (서을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Published : 1976.12.01

Abstract

The phenomenon of sail sickness in the continuous cropping of ginseng is n serious problem for the cultivation practices and is an unelucidated subject scientifically. Present study is concerned mainly with ecochemical search on the cause of soil sickness in the continuous cropping of ginseng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umic substances isolated from both cultivated and uneulvidated soils with ginseng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its IR spectra but any difference which may be causative of sail sickness between them was not detected. In contrast, same saponin-like substances extracted from the ginseng cultivate soil in root tone were detected but not from the uncultivated soil. Presumably. the saponin like substances in the soils are originate) from the ginseng radices and are accumulaetd in root zone year by year, while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root exudate of ginseng and soil sickness is still obscure.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distributive Pattern of microflora in rhizosphere of ginseng radices the number of fungi is relatively diminished with the cul tivation years, while the number of actinomycetes is increased. It is supposed that the soil sickness in the continuous cropping of ginseng has any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microflora in rhizosphere and the reef exudates.

본 연구는 현재로는 인삼의 조작이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있는 장애 현상을 생태화학적인 면에서 검사하여 그 원인을 추구하려 하였다. 현재 인삼의 조작장애 원인은 특정균의 침해로 해석하고 있으나, 그 병 유발의 원인에 대하여는 아직 불분명하며 여러 가지 가능성이 추리된다. 삼재배지와 비재배지 토양의 일반적인 성질의 비교에서는 별차이를 볼 수 없었으며, 경작을 통한 유기물의 증가와 그에 따른 양이온 교환용량의 상승을 볼 수 있었다. 삼 재배지와 비 재배 토양에서 알칼리로 추출되는 부식물의 성상을 비교하였으나, 적외선부 흡황곡선으로는 양자간에 별차이점이 없이 공통 또는 유사성을 보이는 급광대를 가지며 재배지역에 따라 근소한 상이점을 보였다. 한편 삼근권 토양의 에탄을 추출물에는 삼생육 기간중 분비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성적인 검색으로 상근성분의 일부와 같거나 또는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근권내 특수 유기물질과 연작장애와의 연관성은 삼근 부패인(특정 미생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호 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