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N-A-343, Clonidine 및 Cocaine의 백서(白鼠)와 가토정관(家兎精管)의 자극효과(刺戟效果)에 대(對)한 영향(影響)

Effect of McN-A-343, Clonidine and Cocaine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Rat and Rabbit Vas Deferens to Field Stimulation

  • 양효구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Yang, Hyo-Koo (Dept. of Pharmacology, Chonnam University Medical School)
  • 발행 : 1981.12.30

초록

1) 흰쥐 및 가토정관표본(家兎精管標本)에서 전기자극(電氣刺戟)(Field Stimulation)에 의한 수축반응(收縮反應)에 미치는 McN-A-343. cocain 및 clonidine등 그 작용(作用)에 NE와의 유관성(有關性)이 시사(示唆)되어 있는 약물(藥物)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2) 소양(小量)의 McN-A-343$(0.003,\;0.03,\;0.3{\mu}\;g/ml)$, clonidine$(0.003,\;0.03\;{\mu}g/ml)$, cocaine$(0.03\;{\mu}g/ml)$존재하(存在下)에서 $5{\sim}10Hz$에 의한 자극효과(刺戟效果)는 억제(抑制)되었고 이 억제(抑制)는 yohimbine, piperoxan 투여(投與)에 의하여 원수축반응(原收縮反應)으로 회복(回復)되었다. 3) 전술(前述)한 McN-A-343$(0.03\;{\mu}g/ml)$ 또는 cocaine $(0.03\;{\mu}g/ml)$에 의한 억제(抑制)는 각각 동량(同量)의 cocaine 또는 McN-A-343으로 더욱 강화(張化)되었다. 이 강화(强化)된 억제효과(抑制效果)는 yohimbine으로 회복(回復)되었다. 4) 비교적(比較的) 대량(大量)의 McN-A-343$(30\;{\mu}g/ml)$ 및 cocaine$(3\;{\mu}g/ml)$존재하(存在下)에서 $5{\sim}10Hz$ 및 0.01 Hz의 자극효과(刺戟效果)는 강화(强化)되었다. 이 강화(强化)는 thymoxamine 존재하(存在下)에서 소실(消失)되었고, atropine 존재하(存在下)에서는 McN-A-343의 강화(强化)만이 소실(消失)되었다. 5) Muscarine에 의하여 자극효과(刺戟效果)는 강화(强化)되었고 이 강화(强化)는 thymoxamine 및 atropine 존재하(存在下)에서 억제(抑制)되었다. 6) 흰쥐 정관표본(精管標本)의 0.01 Hz의 자극효과(刺戟效果)는 McN-A-343 또는 clonidine에 의하여 억제(抑制)되었고, yohimbine 존재하(存在下)에서 후자(後者)에 의한 억제(抑制)는 부분회복(部分回復)되었으나 전자(前者)에 의한 억제(抑制)는 영향(影響)받지 않았다. 7) 이상(以上)의 성적(成績)으로 McN-A-434은 교감신경말단(交感神經末端)으로부터의 NE유리(遊離)에 대하여 상반(相反)된 두가지 작용(作用) 즉(卽) $pre-{\alpha}$를 통(通)한 NE유리(遊離)의 억제(抑制) 및 muscarinic recepor를 통(通)한 NE유리(遊離)의 증가(增加)를 일으키는 성질(性質)을 갖고, cocain(소량(少量))은 NE-uptake 억제(抑制)에 의하여 NE를 통(通)해 $pre-{\alpha}$에 작용(作用)하여 NE유리(遊離)를 억제(抑制)시키는 성질(性質)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 Effects of McN-A-343, clonidine and cocaine on the contractile response of the rat and rabbit vas deferens to field stimulation were investigated. The action mechanisms of these drugs have shown to be associated with endogenous norepinephrine(NE). 2) The contractile response to the stimulation of 5-10 Hz was markedly inhibited by the cumulative doses of McN-A-343 (0.003, 0.03, $0.3{\mu}g/ml$), clonidine (0.003, $0.3{\mu}g/ml$) and cocaine $(0.03\;{\mu}g/ml)$. The inhibition was antagonized by yohimbine and pjperoxan. 3) The inhibitory effect of McN-A-343 $(0.03{\mu}g/ml)$ and cocaine $(0.03{\mu}g/ml)$ was markedly enhanced by the same dose of cocaine and McN-A-343, respectively. This enhanced inhibition was also antagonized by yohimbine. 4) The contractile response to the stimulation of 0.01 Hz and 5-10 Hz was markedly potentiated by comparatively large doses of McN-A-343 $(30\;{\mu}g/ml)$ and $(3\;{\mu}g/ml)$. This potentiation was no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thymoxamine. The potentiation by McN-A-343 also did not appear in the presence of atropine. 5) The contractile response to the above stimulation was potentiated by muscarine and the potentiation was markedly attenuated in the presence of thymoxamine and atropi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