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ermination on the Nutritive Value of Barley in Rats

흰쥐에 있어서의 발아(發芽)보리의 영향효과(營養效果)

  • Published : 1981.03.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value of germinated barley with animal experiment. Fourthyeight weanling albino rats, which were divided into 8 groups, were fed during 4 weeks. The feed intake, energy intake, FER (feed efficiency ratio) and growth rate were slightly high in the casein supplemented groups and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rice and casein supplemented groups. But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arley and germinated barley groups. A higher PER (protein efficiency ratio) was shown in the rice and casein supplemented groups. It was induced that mixed cereal protein increase the PER compared to simple cereal protein. Low apparent digestibility of the diet and of the protein were found in barley and germinated barley groups compared to standard and rice groups. But apparent digestibility of protein in germinated barley groups were markedly increased by the supplementation of 5% casein or supplementation of rice and casein. From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germinated barley has a nutritional effect on increasing protein digestibility when added enough amount of animal protein.

보리와 발아보리의 생체내 영양효율을 알기위해 동물실험을 행하였다. 젖뗀 albino rat를 사용하여 단백질원으로 보리 및 발아보리만을 사용한 군, 단백질(5%의 casein)을 첨가해준, 그리고 쌀(쌀:보리=8:2) 및 단백질(5% casein)을 혼합 첨가시킨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 및 열량섭취량, 식이의 효율 및 체중은 보리 및 발아보리에 단백질을 첨가시킨군들에서 높았으며 쌀과 단백질을 첨가시킨군들에서는 현저히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 그러나 보리군들과 발아 보리군들간의 차이는 볼 수 없었다. 2. 단백질의 효율은 단일 곡류군들과 단백질 첨가군들에 비해 쌀과 단백질 혼합첨가군들이 높음을 보여 흔합된 곡류단백질이 체내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이 및 단백질의 소화흡수율을 보면, 단일곡류군들에서는 표준군에 비해 보리군 및 발아보리군들이 낮음을 보였다. 그러나 여기에 단백질 또는 쌀과 단백질을 혼합 첨가하였을 경우 보리군들에 비해 발아보리군들의 단백질 소화흡수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발아보리의 영양효과는 발아보리와 함께 동물성단백질을 적당히 섭취할 경우 단백질의 소화흡수율을 크게 증가 시키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