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eudo-Binary Diffusion Coefficients of Organic Aroma Component - I.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Benzaldehyde in Aqueous Sugar Solution -

유기방향물질의 의사 2성분계 확산계수 - 제1보 : 설탕수용액중 Benzaldehyde의 확산계수 -

  • Kang, An-Soo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Myong Ji University) ;
  • Lee, Tae-He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Published : 1982.12.30

Abstract

The measurement of cell constant in a diaphragm-cell method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order to get the correct cell constant, the diffusion coefficients of potassium chloride were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potassium chloride solution, and at the stirring rate in the cell. The pseudo-binary diffusion coefficients of organic aroma component (benzaldehyde) in sugar solution has been measured at various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with the cell constant obtained abov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with the semi-empirical epuations from literatures. And, especially, the diffusion coefficient of benzaldehyde, $D_{ba}$ for a small solute diffusing in a viscous solvent of larger molecules is proportional to the -0.82 power of the viscosity of aqueous sugar solution, ${\mu}$ at constant temperature, $D_{ba}{\mu}^{0.82}=constant$.

설탕용액중 benzaldehyde의 의사 2성분계 확산계수를 농도 및 온도를 변화시켜 측정하여 이론식과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어 내었다. 1. $20{\sim}40^{\circ}C$의 일정한 온도에서 설탕용액중 benzaldehyde의 확산계수는 점도의 -0.82승에 비례하며 이것은 매질이나 확산되는 물질에 따라 차이가 생긴다. 2. 일정한 온도에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농도에서 확산계수를 알 수 있다면 Tang-Himmelblau식을 이용하여 Wilke-Chang식 보다 정확하게 확산계수를 예측할 수 있으며 설탕용액에서 ${\varepsilon}=0.2$라 놓을수 있고, 설탕의 회합인자, ${\varphi}_s=2$라 놓을수 있다. 또 Bird 등에 의한 effective diffusivity는 고점도 범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염화칼륨을 이용하여 격막 cell 방법으로 cell 상수를 결정할 때 수용액중 염화캄륨의 확산계수가 농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농도범위, 즉 0.05N 이상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으며 온도의 영향은 크지 않으나 상온 부근의 저온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