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 뇌내 Opiate 수용체의 일주기 변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adian Rhythm of Opiate Receptor in Rat Brain

  • 이무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마취과학교실) ;
  • 김기원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조규박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Lee, Moo-Suck (Dept. of Anesthesiology, Chonnam Natl. Univ., Med. School) ;
  • Kim, Ki-Won (Dept. of Pharmacology, Chonbug Natl. Univ., Med. School) ;
  • Cho, Kyu-Park (Dept. of Pharmacology, Chonbug Natl. Univ., Med. School)
  • 발행 : 1984.12.30

초록

실험적으로 명암주기 또는 암주기에 적응시킨 백서의 간뇌 homogenate에서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 유무를 검토하고,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종 중추작용약물의 영향을 보고 저 7 group에서 4시간 간격으로 1일 6회 maximum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 : D, 12 : 12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maximum $^3H-morphine$ binding은 22시에 최고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일중변동을 보였고, 24시간 평균 $^3H-morphine$ binding치는 $0.45{\pm}0.03\;pmole/mg Protein이었다. 2) 지속적인 암적응을 시킨 D : D, 12 :12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의 일중변동은 14시에 최하, 그리고 2시에 최고의 binding치를 보이는 만상성의 일주변동은 보였으며 대조군의 곡선과는 그 shape, Phase, 진폭, 최고 또는 최하 binding시기 및 24시간평균 opiate수용체의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속적인 암적응,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 처리는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켰다. 4) 그러나 전 실험군에서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 실험성적으로 백서뇌내 opiate수용체의 일중변동은 수용체의 질적변동이 아닌 수적인변동에 의하고, 지속적인 암적응이나 circadian rhythm을 변동시키는 중추성 약물들이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통을 포함하여 제종 진통제의 효과가 일중변동을 일으키는 것은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To investigate diurnal variations of opiate receptor binding and its modification by experimental condition or treatment of various centrally-acting drugs, the amount of maximum $^3H-morphine$ binding in rat midbrain homogenates was measured at 4 hour intervals for 24 hours. Animals were conditioned under the controlled L : D, 12 : 12 cycle or D: D, 12 : 12 cycle, for 3 weeks and treated with 0.5 ml of physiological saline or drugs for 2 weeks. A highly significant diurnal rhythm with peak at 22 hour of early dark phase with an amplitude$(0.68{\pm}0.06\;pmole/mg\;protein)$ of +51.1% and nadir $(0.33{\pm}0.03\;mole/mg\;prtein)$ at 18 hour of late light phase with an amplitude of -26.6% was found in control group. 24 tour mean of $^3H-morphine$ binding was $0.45{\pm}0.03\;pmole/mg$ protein respectively. Constant dark adaptation or treatment of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and chlorpromazine modified the diurnal rhythm in the time of peak and nadir binding shape, phase, amplitude of the diurnal curve and 24 hour mean of $^3H-morphine$ binding. However, Kd values were not chang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 Statistical analysis at times of least and great binding indicates that the differences in $^3H-morphine$ binding were due to changes not in the affinity, but in the number of binding sites. The results are interpreted with regard to the diurnal rhythm of opiate receptor finding. The modes of action of psychoactive drugs are closely related to postulated changes of receptor sensitivity in neuropharmacological aspect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