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tectiv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Reoxygenation Injury in Hypoxic Myocardium of Rat

저산소 심장의 산소 재공급에 따른 심근 손상에 있어서 항산화제의 보호 효과

  • Yoon, Hyung-Ku (Department of Phamac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im, Jung-Kyoo (Department of Phamac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yung-Suk (Department of Phamacolog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형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임정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김명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88.06.30

Abstract

The effect of antioxidants on the myocardial cellular damage which occurs during reoxygenation of hypoxic myocardium was examined in isolated rat hearts. The roles of oxygen free radical and lipid peroxidation in reoxygenation injury of myocardium were also investigated. In Langenorff preparation of isolated rat heart, which was made hypoxic by perfusion with the substrate free, hypoxic cardioplegic solution ($37^{\circ}C$, 90 min), the release of cytosolic enzymes (creatine phosphokinase, lactic dehydrogenase) and a lipid peroxidation product, malondialdehyde into the coronary effluent were abruptly increased by reoxygenation. The release of enzymes was closely parallel to that of MDA. These increases of enzymes and lipid peroxidation product were suppressed to various degrees in the presence of scavengers of superoxide anion (superoxide dismutase, 10,000 U), hydrogen peroxide (catalase, 25,000 U) and hydroxyl radical (dimethyl sulfoxide, 10%). A natural antioxidant, ${\alpha}-tocopherol$(4.5 uM) and a synthetic one, butylated hydroxytoluene (2 uM) suppressed the release of cytosolic enzymes with the concomittent reduction of lipid peroxidation as measured by malondialdehyde release into the coronary effluent. These effects of antioxidants were dose dependent, and were more pronounced when the antioxidants were administered throughout hypoxic and reoxygenation periods than given during reoxygenation period on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ytotoxic oxygen free radicals produced in the myocardium during reoxygenation may be responsible fur the myocardial cellular injury by enhancing the lipid peroxidation of cellular membranes. Furthermore, the antioxidants may exert protective effect against reoxygenation damage of hypoxic myocardium through the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reaction.

저산소 심근의 산소 재공급시에 보이는 심근 손상(oxygen paradox) 기전을 규명하고, 이의 예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독성 산소 대사물인 산소 라디칼의 관련성과 지질과산화활성화 및 항산화제의 심근 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흰쥐 적출 심장을 Langendorff 심장관류법 으로 산소 및 glucose 공급을 중단한 cardioplegic 용액으로 관류 ($37^{\circ}C$, 90분)하여 저산소 상태를 만든 후, 계속해서 산소재공급 관류(20분)를 시행하여 저산소-산소 재공급 심근 손상을 유도 하였다. 심근 손상의 지표로 creatine phosphokinase(CPK), lactic dehydrogenase(LDH)의 관상관류액으로의 유출을, 그리고 지질과산화 척도로는malondialdehyde(MDA) 생성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산소 라디칼 제거물질과 항산화제 ${\alpha}-tocopherol$ 및 butylated hydroxytoluene(BHT)의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세포질 효소인 CPK 및 LDH의 유출과 지질과산화산물의 하나인 MDA의 생성은 산소 재공급과 더불어 급격히 증가하였다. 2. 산소 재공급시 세포질 효소의 유출과 MDA 생성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3. Superoxide anion$(O_2)$의 제거 호소인 superoxide dismutase (10,000U), $H_2O_2$ 제거 효소인 catalase (25,000 U) 그리고 hydroxyl radical (OH) 제 거 물질인 dimethylsufoxide(10%)는 세포질 효소의 유출 증가와 MDA 생성 증가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4. 생리적 항산화물질인 ${\alpha}-tocopherol$.of (4.5 uM)과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toluene(2 uM)은 산소 공급에 따른 MDA 생성 증가와 세포질 효소의 유출 증가를 용량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5. 항산화제들의 심근 보호 효과는 산소 재공급시 투여할 때보다는 저산소 관류시부터 투여한 경우에 더욱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저산소 심근의 산소 재공급은 유독성 산소 대사물인 산소 라디칼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그에 따른 지질성분의 과산화가 심근 손상을 일으키는데 관여할 것으로 여겨졌으며, 저산소-산소 재공급 심근 손상은 지질과산화 반응을 억제하는 항산화제에 의하여 방지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