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Different Processes on Texture of Fermented Cucumber Pickles

열처리조건이 오이지의 질감에 미치는 영향

  • Yoon, Su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ome Economics, Yonsei University) ;
  • Lee, Jin-Sil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ome Economics, Yonsei University) ;
  • Hong, Wan-Soo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College of Home Economics, Yonsei University)
  • 윤선 (연세대학교 가정대학 식생활학과) ;
  • 이진실 (연세대학교 가정대학 식생활학과) ;
  • 홍완수 (연세대학교 가정대학 식생활학과)
  • Published : 1989.03.30

Abstract

Effects of different processes or texture of cucumber pickles fermented in 7% NaCl solution were studied. Cucumber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processes: control; preheating in 7% NaCl, 0.04M $CaCl_2$ solution ($60^{\circ}C$, 1hr); combination of preheating and post microwave heating (5 min, midium high level, 2450 Mhz); preheating in the solution which was adjusted to pH 8.5. In each process the pH and total acidity of brine solution, total pectin contents in alcohol insoluble solids (AIS), hot water soluble pectin (HWSP) contents and firmness of cucumber pickles were determined at 0, 5, 10, 15 and 25 days of storage periods. Total pectin contents and the firmness of pickles were decreased during 25 days of storag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and post microwave heating group marked the highest value in total pectin contents and firmness retention of cucumber pick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otal pectin content seems to correlate with the firmness of cucumber pickles. However, HWSP content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firmness of cucumber pickles. Post microwave heating method could be used to retain firmness of fermented cucumber pickles.

본 연구에서는 7% 소금 용액을 이용하여 예비 열처리($60^{\circ}C$, 1시간), pH8.5로의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를 이용한 후열처리가 오이지 침지 용액의 pH, 산도, AIS내의 총 펙틴 함량, HWSP 함량, 견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조 0, 5, 10, 15, 25일째의 분석을 통해 pH는 감소, 산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분석일의 pH는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이 가장 높은 3.1, 산도는 1.93%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AIS에 존재하는 총 펙틴 함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처리군들의 감소율은 적었으며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의 최종 함량은 가장 높은 17.93%로 나타났다. HWSP의 함량은 제조 후 5일째부터 15일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했다. Texturometer에 의한 견고도 측정결과 제조 후 15일째부터는 실험군들간에 차이가 많이 나기 시작했으며 최종 견고도는 대조군이 가장 낮은 4.77kg, 예비 열처리, 염화칼슘 첨가 및 microwave 후열처리군이 가장 높은 6.88kg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로 보아 총 펙틴 함량과 견고도와는 서로 연관이 깊은 것으로 보이며 microwave 후열처리는 펙틴물질의 분해를 저지시켜 견고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낮게 해 줄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