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Structure of Pericarp i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Fruit

인삼과실의 과피구조에 관한 연구

  • 유성철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정병갑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 김우갑 (고려대학교 이과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89.06.01

Abstract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pericarp of Panax ginseng fruit cells are studied during maturation periods. The pericarp can be divided into exocarp, mesocarp and endocarp. The exocarp consists of one layer of epidermal cells which is covered by a thin cuticle and hypodermal cells. A central vacuole and peripheral cytoplasm are observed in the exocarp and mesocarp. Also, irregular wall arrangement are observed during the differentiation. The endocarp is clearly marked off from the others by secondaw wall thickening and lignification. Secretory materials produced by the Golgi complex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vesicles appear to accumulated in the cell wall. These secretory materials are considered major components of the seed coat during the differentiation.

인삼과실의 발달에 따른 과피의 구조적 변화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인삼과피는 크게 외과피, 중과피 및 내과피로 구분되었으며 외과피는 큐티클로 덮혀있는 단층표피와 하표피층으로 구성되었다. 외과피와 중과피층은 세포질의 대부분을 액포가 차지하고 있었고 세포의 배열이 불규칙적이었으며 분화가 진행될수록 세포벽의 용해가 일어나는 등 세포의 퇴화현상이 관찰되었다. 내과피 세포는 이차세포벽의 비후와 목질화 현상으로 다른 층과 쉽게 구별이 되었으며 이는 기계적인 보강조직으로의 분화라고 사료된다. Golgi comples와 조면소포체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질들을 세포벽에 축적되는데 이는 내과피가 종피로 분화될 때 종피의 주요 구성물질을 이루는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