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iation of Tracheid length and Wood ray of Major Sivelian Coniferous Woods

북양(北洋) 주요(主要) 침엽수재(針葉樹材)의 가도관장(假導管長)과 방사조직(放射組織)의 변이(變異)

  • Lee, Won Yong (Dept. of Forest Products and Technology, College of Forestry,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 이원용 (원광대학교 임과대학 임산가공학과)
  • Received : 1990.09.05
  • Published : 1990.01.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tracheid length, ray spacing per mm and ray height of major coniferous woods (Picea jezoensis, Abies sachaliensis, Pinus koraiensis, Pinus sylvestris and larix gmelini)grown at Sivelian forest of USS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averaged mean values of tracheid length are respectively $3550{\mu}$ on Pinus koraiensis, $3440{\mu}$ on Abies sachaliensis and Larix gmelini, $2900{\mu}$ on Picea jezoensis, and generally this values of Sivelian coniferous wood are more longer than Korean samewood. 2. The tracheid length on sapwood is more larger than heartwood and this values on latewood are also larger than earlywood. 3. The averaged mean values of ray height are respeetively 14.5 on Larix gmelini, 13.5 on Picea jezoensis and Pinus sylvestris, 9.7 on Pinus koraiensis, and this values of Sivelian coniferous wood are more larger than Korean samewood. 4. Ray height is comparatively small near the pith and tend to be increased to bark of wood. 5. The avereged values of ray spacing per mm are respectily 7.9-8.3 on Larix gmelini and Picea jezoensis, 7.1 on Abies sachaliensis, and 6.1-6.2 on Pinus koraiensis and Pinus sylvestris.

소련의 시베리아 지방(地方)에서 생육(生育)하고 있는 주요(主要) 침엽수재(針葉樹材)인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 북양전나무(Abies sachaliensis), 잣나무 (Pinus karaiensis), 구주소나무(Pinus sylvetris) 및 북양낙엽송 (Larix gmelini)에 대하여 가도관(假導管)의 길이, 그리고 방사조직(放射組織)의 높이와 밀도(密度)의 출현상태(出現狀態) 및 변이(變異)를 조사하였으며 그것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가도관(假導管)의 길이는 잣나무가 가장 길며(평균 $3550{\mu}$), 그 다음이 북양전나무와 북양낙엽송(각각 $3440{\mu}$)이고, 가문비나무가 약 $2900{\mu}$으로 가장 짧았다. 또한 한국산(韓國産)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 다소 긴 경향(傾向)이 있다. 2) 일반적(一般的)으로 가도관(假導管)의 길이는 심재부(心材部)보다도 변재부(邊材部)에서, 또한 조재부(早材部)보다도 만재부(晩材部)에서 더 긴 경향(傾向)을 나타내고 있다. 3) 방사조직(放射組織)의 높이는 북양낙엽송이 가장 높고(14.5세포고(細胞高)), 그 다음이 가문비나무와 구주소나무(약 13.5세포고(細胞高))이며, 잣나무가 9.7세포고(細胞高)로 가장 낮았으며, 한국산(韓國産)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는 높은 경향(傾向)이 있었다. 4) 방사조직(放射組織)의 높이는 수심부(髓心部)에 가까운 젊은 영계(令階)에서는 낮고 수피부(樹皮部)로 향(向)하여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5) 횡단면(橫斷面)에서 접선방향(接線方向) 1mm내(內)에 함유(含有)되는 방사조직밀도(放射組織密度)는 북양낙엽송과 가문비나무가 7.9와 8.3개(個)로 가장 많으며, 북양전나무가 7.1, 그리고 잣나무와 구주 소나무가 6.1~6.2개(個)로 가장 적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