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면마감방법과 볕쪼임이 숙성중 표층 고추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finishing method and sunning on top layer Kochuiang Quality during Aging

  • 김중만 (원광대학교 농과대학 농화학과) ;
  • 송현주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농업교육전공) ;
  • 양희천 (전주우석대학교 식품공학과)
  • Kim, Joong-Man (Dep. of Agri. Chemistry, Wonkwang University) ;
  • Song, Hyun-Ju (Agricultural Education Major, Educational Graduate School, Wonkwang University) ;
  • Yang, Hee-Cheon (Dep. of Food Technology, cheonju Woosuk Univ.)
  • 발행 : 1993.09.30

초록

고추장을 직립성 용기에 담아 숙성보관시 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햇빛을 쪼여 표면을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표면층 고추장이 건조되고, 적색이 흑변되고, 유동성이 상실되며, 과염도 및 이물질 오염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숙성 보관중 표층 고추장의 악변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숙성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표면을 3가지 방법(무처리, 소금뿌림, PE-film덮기)으로 처리한 후 각각 햇빛을 쪼이면서 숙성한 경우(A, B, C)와 A, B, C와 같이 처리한 후 뚜껑을 덮어 숙성(A', B', C')시키면서 15일 간격으로 수분, 염도, pH, 점도, 퍼짐성(찍음성), 색도, 곱의 발생유무를 조사 비교하였다. 2일에 1회 햇빛을 쪼이면서 120일간 숙성시킨 경우(A, B, C)곱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수분함량 감소$(59%{\rightarrow}21-29%)$, 적색도 감소 내지는 흑색화$(21{\rightarrow}0-1)$, 퍼짐성 감소, 굳기 증가$(20{\;}g{\rightarrow}380{\;}g)$ 및 과염도화$(8-18%{\rightarrow}18-30%)$ 등으로 많은 양이 비가식화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반면 뚜껑을 덮어 숙성시킨 경우 적색도, 염도, 퍼짐성, 굳기는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나 PE-film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곱이 많이 발생되어 PE-film을 덮어 숙성시키는 것이 고추장 표면을 건전하게 관리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To minimize the waste amount of surface layer kochujang during aging, the effects of the three finishing methods(nothing, salt scatering and Polyethylene film on the kochujang surface) and sunning(conventional aging method) or nonsunning aging(cap covering) on water content, redness and spreadability, film forming yeast occurance and salinity of surface layer kochujang during 120 days aging were investigated. In the case of sunning aging, film forming yeast was not visually found on the surface. The surface layer kochujang was so low spreadability(zero) and very high salinity(18-30%) that could not eat. However, the aging method after PE-film covering on the kochujang surface, and then cap covering(nonsunning) was very effective in keeping of soundness of surface layer kochujang without film forming yeast growth on the surface kochujang, especially was greatly effective in keeping of redness, moderate moisture content and spreadability. The PE-film and cap covering aging were effective in prevention of water evaporation and $CO_2$ release, and in accumulation of ethanol and organic acids between the PE-film and surface layer of kochuja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