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s Spectrometer를 이용한 대두 배아 출추 Cerebroside의 구조 분석

Structural Determination of Cerebrosides from Soybean Embryo by Mass Spectrometer

  • 김정훈 (럭키 생활용품, 화장품 연구소 분석 연구실) ;
  • 장석윤 (럭키 생활용품, 화장품 연구소 분석 연구실) ;
  • 김여경 (럭키 생활용품, 화장품 연구소 분석 연구실)
  • 투고 : 1993.07.28
  • 발행 : 1993.08.25

초록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er(FAB-M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GC-MS), TLC 등을 이용하여 대두 배아 추출 cerebroside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Cerebroside를 이루고 있는 각각의 구성 성분은 화학적인 산분해 후 GC-MS로 분석하였다. Cerebroside의 분자량 분포는 LiOH로 포화된 3-nitrobenzyl alcohol(3-NBA)를 matrix로 한 양이온 검출 FAB-MS법으로 측정하였다. FAB-MS와 GC-MS 결과를 종합하여 cerebroside의 구조를 해석함으로써 기존의 분석법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대두 배아로부터 추출한 cerebroside의 대부분은 N-2'-hydroxy palmitoyl-sphingadienine에 당이 한 분자 결합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그 조성이 매우 단순하였다.

The structure of cerebrosides from soybean embryo was determined using fast atom bombardment mass spectrometer (FAB-MS),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GC-MS) and TLC. The components of cerebroside were determined by GC-MS after acid hydrolysis.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cerebroside was measured by positive mode FAB-MS with LiOH saturated 3-nitrobenzylalcohol(3-NBA) matrix. Structures of individual components of complex mixtures can be determined easily by this process. The major constituent of soybean extracted cerebroside was determined as the glucoside of N-2'-hydroxypalmitoyl-sphingadieni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