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on the FMLP-Induced Migration of Neutrophil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Kim, Woo-Mi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 Kang, Koo-Il (Department of Pharmacology,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 김우미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 ;
  • 강구일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 교실)
  • Published : 1994.06.30

Abstract

Enhancement or diminution of leukocyte migration to the specific site might be important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on chemotaxis of neutrophil, we obtained neutrophils by Hypaque-Ficoll step gradient centrifugation and tested the effects of seven drugs on the n-formyl-leucyl-phenylalanine (FMLP)-induced migration of neutrophil using a 48-well micro chemotaxis assembly. Oxyphenbutazone, phenylbutazone, sulindac, zomepirac, and ibuprofen suppressed the migration of neutrophil at the therapeutic concentrations, however, indomethacin showed stimulation effect. IC50s for inhibition of neutrophil migration by these drugs are less than 100uM. When drugs were preincubated with FMLP, no inhibition on migration of neutrophil was observed.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hibitory effects of these drugs on migration of neutrophil might be related to the receptor sites of neutrophil rather than molecular inactivation of chemoattractant (FMLP).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the property of inhibition effects on neutrophil migration of several NSAIDs might be another mode of pharmacological action for anti-iflammatory effect, which showed significant effects at concentrations below therapeutic levels, in addition to cyclooxygenase inhibition.

본 연구는 7종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가 FMLP에 의한 사람 중성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약물의 농도별로 관찰하고자, Hypaque-Ficoll step gradient centrifugation방법에 의하여 중성구를 분리하고, 48-well micro chemotaxis assembly를 이용하여 chemotactic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Oxyphenbutazone, phenylbutazone, zomepirac, ibuprofen은 약물의 치료 농도하에서 중성구의 이동에 대한 강력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며, indomethacin은 중성구의 이동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약제들은 모두 100uM미만의 약물 농도에서 각각 IC50를 나타내었으며, oxyphenbutazone, phenylbutazone은 10uM에서 최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zomepirac, ibuprofen은 각각 0.luM과 100uM에서 가장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약제를 FMLP와 함께 하단 구획에 첨가하였을 때에는 세포와 함께 상단구획에 첨가하였을 때와는 상이하게 세포의 이동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 약제가 FMLP와의 분자적 상호 작용을 통하여 FMLP의 작용을 저하시키는 것보다는 세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서 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내어 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oxyphenbutazone등의 약제가 100uM미만의 저농도에서 FMLP에 의한 중성구의 이동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을 보고, 이 작용은 지금까지 비스테로이드성 함염증제의 작용 기전으로 말려진 cyclooxygenage 억제 작용과는 별개의 기전으로 사료되므로, 이를 상기 약제가 세포 수준에서 나타내는 제 2의 약리 기전으로 제시한다.denosine의 효과를 길항함을 볼 수 있었으나 $K{^+}$-통로 차단제인 glibenclamide는 adenosine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8-Bromo-cAMP (100과 $300{\mu}M$) 그 자체로는 ACh 유리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치 못하였으나 $300\;{\mu}M$ 8-bromo-cAMP 전처리에 의하여 $30\;{\mu}M\;adenosine$의 효과가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흰쥐 해마에서 $A_1-adenosine$ 수용체를 통한 adenosine의 ACh유리 감소는 G-단백에 의존적이며, 이러한 효과에 nifedipine에 예민한 $Ca^{++}$-통로와 adenylate cyclase계가 일부 관여함은 확실하나 proteinkinase C 및 glibenclamide에 예민한 $K{^+}$통로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新稱), Phellinus pomaceus), 회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crassa), 층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serialis), 흰그물구멍버섯(신칭(新稱), Ceriporia reticulata), 겹친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balsameus), 점박이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guttulatus), 무른흰살버섯(신칭(新稱), Oxyporus cuneatus), 각목버섯(신칭(新稱), Rigidoporus microporus), 및 주름옷솔버섯(신칭(新稱), Trichaptum laricinum)으로서 우리말 이름과 영문 기재(記載)와 함께 우리나라의 균류목록(菌類目錄)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였으며, White+NAA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