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ion of soybean varieties for soybean sprouts and Tofu processing

콩나물과 두부의 가공을 위한 콩 품종의 비교

  • Kim, J.H.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jong Univ.) ;
  • Kim, D.H.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Yuhan Junior College) ;
  • Kim, W.J.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jong Univ.)
  • 김주헌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 김동희 (유한전문대학 식품영양학과) ;
  • 김우정 (세종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4.02.28

Abstract

Eight varieties of soybeans grown in Korea were investigated to compare chemical composition, protein dispersibility index (PDI) and some properties of soybean sprouts and tofu. The range of protein contents was $37.80{\sim}40.43%$ where the Kyungdong 3 was the highest and Suwon 157 was the lowest, while the Bokwang was the lowest in lipid contents. The range of PDI was $71.6{\sim}95.3%$ where the Kyungdong 3 was the highest and Suwon 162 was the lowest. The Kyungdong 3, Suwon 160 and Suwon 162 were significantly fast in growth rate of soybean sprout roots and the 100% of germination. The Kyungdong 3 was the highest in tofu yield and Suwon 146 was the highest in hardness. The organoleptic properties of tofu showed that $L{\times}2.3$ and Suwon 162 was relatively high in cooked beany odor, while the Suwon 146 were the highest in elasticity and hardness. Even though Kyungdong 3 was found as the best for tofu and soybean sprouts processing, the black color of seed coat affected negatively on tofu color.

국산장려품종 중 8품종의 콩을 대상으로 콩의 일반성분, 단백질 분산도(PDI), 발아속도, 두부의 주요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콩의 단백질 함량은 경동 3이 40.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보광이 37.80%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질의 함량은 보광이 가장 높았다. 단백질 분산도는 경동 3이 95.3%로 가장 높았고, 수원 162가 71.6%로 가장 낮았다. 콩나물 뿌리의 성장속도는 경동 3, 수원 160, 수원 162 등이 현저히 빠를 뿐만 아니라 발아율도 100%이어서, 콩나물 재배에 적당함을 보였다. 두부의 수율은 수용성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았던 경동 3이 $198.8\;cm^3$로 가장 높았으며, 견고성은 수원 146이 가장 단단하였다. 두부의 주요한 관능적 특성 중 익은 콩냄새는 $L{\times}2.3$과 수원 162가, 그리고 탄력성과 견고성은 수원 146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경동 3은 콩나물 재배 뿐만 아니라 두부의 제조에도 우수한 품종으로 밝혀졌으나 표피의 색이 검정색이어서 두부의 색에 영향을 주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