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Korean traditional interior space and major elements in contemporary apartment

아파트 내부에 나타난 한국전통 실내 공간의 특성 및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 오혜경 (경희대학교 아동·주거학과)
  • Published : 1995.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consistency of Korean traditional space in apartment. Fifty-two apartments and its dwellers were selected for field survey research and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pace layout which has its origin in Korean traditional house was found in contemporary apartment and favored than that of western apartment. Second,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space characteristics, the openness and closeness were found between the living room and room, living room and din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Third, the heating system has been being changed from radiator to on-dol. Also favored finishing materials were revealed on-dol wood flooring and picture window for the living room, jang-pan flooring and Korean lattice window for the master room, wall covering for every wall and ceiling.

본 연구의 목적은 아파트 공간에 남아 있는 한국의 전통 실내공간 및 구성 요소를 조사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문헌을 고찰하고 52가구의 아파트를 선정하여 방문에 의한 설문조사와 현장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의 배치 및 구성은 현관-거실 및 식당-방-안방의 서양적 평면보다 현관-방-거실 및 식당-안방의 한국전통공간에서 기인한 평면이 선호되었다. 둘째, 공간의 특성은 한국 전통공간의 여러 특성 중 거실-방, 거실-식당, 식당-부엌 사이의 공간 디자인에서 개방성과 폐쇄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셋째, 난방의 종류는 전체 라지에타 방식에서 전체 바닥 난방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공간구성 요 소 중에서 바닥은 온돌마루와 장판이, 벽은 벽지가, 천장은 방에는 평 천장, 거실에는 가운데가 매립된 천장이 선호되었고, 창문은 특히 안방의 경우 전통적 창살 문양을 선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