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of Polyamine Metabolism and Delayed Neuronal Degeneration of Hippocampu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 in Mongolian Gerbils

뇌허혈 손상에 있어서 Polyamine 대사의 변동이 해마신경세포의 지연성괴사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Shin, Kyung-Ho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Hwa-Jung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Young-Jae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Hyung-G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Sang-Hy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 Yeon-Sook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un, Boe-Gwun (Department of Pharmacolog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신경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신화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이영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김형건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최상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천연숙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 전보권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 Published : 1996.12.30

Abstract

Male Mongolian gerbils $(60{\sim}80g)$ were given DL-difluoromethylornithine (DFMO; 250mg/kg, ip) and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 (MGBG; 50 mg/k, ip), respectively, 1 h prior to transient (7 min) occlusion of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OBC7) and a daily dose of one of them for 6 days after recirculation, and the polyamine contents, activities of ornithine and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s (ODC and SAM-DC), and light microscopic findings of the hippocampus were evaluated. The hippocampal putrescine (PT) levels of the control gerbils treated with saline (STGr), markedly increased after OBC7, showing a peak level at 24 h after recirculation. The peak PT level was reduced in DFMO treated gerbils (DTCr) and in MGBG treated gerbils (MTGr). And 7 days after recirculation, the PT level of DTGr was decreased to about 75% of the PT level in the sham operated group (nonTGr) and to about 55% of the STGr level, respectively. The hippocampal spermidine (SD) level of STGr tended to decline, showing the lowest value at 8 h after recirculation. But the spermidine (SD) level of DTGr was somewhat higher at 8 h after OBC7 than those of STGr and MTGr The hippocampal spermine (SM) levels of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little changed for 7 days after OBC. OBC7 markedly increased the hippocampal ODC activity. reaching a maximum (about 3 times higher than preischemic level) at 8 h and rapidly recovered to the control value by 24 h in STGr gerbils, and the OBC7-induced increase of ODC activity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DFMO or MGBG treatment. Whereas OBC7 induced a rapid decrease of the hippocampal SAMDC activity follwed by gradual recovery to the preischemic level, and the decrease of the SAMDC activity was slightly attenuated by DFMO or MGBG treatment. 7 Days after OBC7 the histological finding of the hippocampal complex stained with cresyl violet showed an extensive delayed neuronal damage in the CA1 region and to a lesser extent, in the dentate gyrus, sparing the CA3 region. And the neuronal death was aggevated by DFMO but significantly attenuated by MGBG. The immunochemical reactivity of hippocampus to anti-GFAP antibod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A1 region and to a lesser extent, in the dentate gyrus 7 days after OBC7, but was little changed in the CA3. And the increase of the anti-GFAP immunoreactivity was moderately enhanced by DFMO and significantly suppressed by MGB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amine metabolism may play a modulatory role in the ischemic brain damage.

웅성 모래쥐의 양경동맥을 7분간 폐쇄하여(OBC7) 뇌의 허혈을 유발하여, 해마의 microdialysate내 polyamine 함량과 조직내 polyamine 생합성효소(ornithine decarboxylase: ODC와 S-adenosylmethionine decarboxylase: SAM-DC)의 활성도를 분석하고, 해마의 cresyl violet(CV) 염색과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면역염색소견들을 관찰하여, 허혈성 해마의 신경손상과 polyamine대사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1) OBC부하 후, 해마의 dialysate내 polyamine 변동에서, putrescine(PT)은 현저히 증가되었으나, spermidine과 spermine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고, 이에 해마조직내 ODC활성의 현저한 상승과 SAM-DC활성도의 유의한 저학 동반되었다. 2) Difluoromethylornithine(DFMO)는 OBC에 의한 PT증가와 ODC활성도 상승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나, methylglyoxal bis(guanylhydrazone)(MGBG)는 각각 다소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3) OBC부하 7일후에 관찰한 조직소견에서, 해마의 CA1 부위의 유의한 신경손상이 유도되었으나 CA3와 dentate gyrus 부위에는 미약한 손상만 보였으며, GFAP 양성반응도 CA1 부위에서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같은 소견들은 DFMO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MGBG에 의하여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성적들은 해마 polyamine의 과도한 허혈성 증가가 허혈성 신경손상에 관여할 수 있으나, 한편으로 polyamine대사의 과도한 억제도 허혈성 신경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허혈성뇌손상에 대한 MGBG의 보호작용은 polyamine 대사보다는 다른 작용에 매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장 많았고 습진과 소양증이 각각 19.5%였다. 30대 환자군에서는 습진이 30.3%였고 소양증이 19.1%였다. 40대에서는 소양증이 28.8%였고 지루성 피부염이 16.0%였다. 50대에서는 습진이 26.7%였고 60세 이상의 그룹에서는 습진이 50.0%, 바이러스 질환과 소양증이 각각 15.0%였다. 이들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X^2\;=\;74.995^{**}$, p = .001, df : 40). 결론 : 상대적으로 50세 이상 연령충의 대상 환자 수가 많지 않은 원인은 여리 가지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령에 따라 피부질환이 다른 양상을 보임을 고려할 때 노인층의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이고 사회-경제학적 부담을 최소할 수 있는 한방 치료 영역의 확대 및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려된다.주식 및 후식의 선호도에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단체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 시 이러한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대학생 및 성인을 대상으로 한 영양 교육을 실시할 때 이러한 차이를 고려한 신생활 교정프로그램을 작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은 대조군에 비해 발아에 의하여 세포독성 효과를 증가되었지만, MCF-7와 Caco-2에 대한 항암효과는 없음을 알 수 있었다.것으로 사료된다.높게 인식할수록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교 급식소 운영주체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조사결과 향후 대학교 급식소를 운영하는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경우 그들의 브랜드를 알리기 위한 홍보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최근고객감소로 인하여 다양한 급식운영 마케팅전략을 수립하고 있는 단체급식 운영자들은 재방문 및 추천의도의 선행요건이 급식서비스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임을 명심하여 가장 기본이 되는 급식서비스 품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