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l Starter on Kimchi Fermentation

저온성 젖산균 스타터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 So, Myung-Hw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Bucheon Junior College) ;
  • Shin, Mi-Ye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Bucheon Junior College) ;
  • Kim, Young-Bae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Korea University)
  • 소명환 (부천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신미이 (부천전문대학 식품영양과) ;
  • 김영배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96.10.30

Abstract

Five strains of psychrotrophic lactic acid bacteria which had been isolated from kimchi were inoculated as kimchi starters, and then their effects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entation at $8^{\circ}C$. The initial numbers of Gram negatives and coliforms in no-starter-inoculated kimchi were $4.0{\times}10^{6}CFU/ml\;and\;3.2{\times}10^4CFU/ml$ respectively, while these of lactic acid bacteria were only $1.6{\times}10^3CFU/ml$. Starter-inoculated kimchi showed sharp decreases in Gram negatives and coliforms from initial stage, but no-starter-inoculated kimchi showed slow increases in those bacteria in the early stage, and sharp decreases after 10 days. It took 10 days in no-starter-inoculated kimchi, $4{\sim}6$ days in Leuconostoc-inoculated kimchi and 2 days in Lactobacillus-inoculated kimchi for lactic acid bacteria to reach stationary phase of growth. No-starter-inoculated kimchi required 10 days to reach optimum ripened state, while all starter-inoculated kimchi samples required 4 days. The inoculations of all these starters did not cause over acidifications. Remarkable softening occurred in Leu. dextranicum-inoculated kimchi in 6 days, but did not in the rest. Except the Leu. paramesenteroides-inoculated kimchi, the qualities of Leuconostoc-inoculated kimchi were as good as those of no-starter-inoculated kimchi, but those of Lactobacillus-inoculated kimchi were not so good.

저온 발효된 김치에서 분리된 저온성 젖산균 5균주를 김치제조시에 스타터로 각각 단독 접종하고 $8^{\circ}C$의 저온에서 발효시키면서 본 균주들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스타터 비접종 김치는 담금 즉시에는 그램 음성균수가 $4.0{\times}10^6CFU/ml$이었고, 대장균군수가 $3.2{\times}10^4CFU/ml$이었으나, 젖산균수는 $1.6{\times}10^3CFU/ml$에 불과하였다. 스타터를 접종한 김치들에서는 발효초기부터 대장균군수 및 그램 음성균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스타터 비접종 김치에서는 발효 초기에 이들이 증가하다가 10일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젖산균수가 정상치에 도달하는 데 스타터 비접종 김치는 10일이, Leuconostoc속의 김치들은 $4{\sim}6$일이, Lactobacillus속의 김치들은 2일이 각각 소요되었다. 적숙상태의 총산함량에 도달하는데 스타터 비접종 김치는 10일이, 스타터 접종 김치들은 모두 4일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젖산균들의 접종이 김치의 산패를 야기시키지는 않았다. Leu. dextranicum 김치는 6일이후에 조직이 현저하게 연화되었으나 나머지 김치들은 그렇지 않았다. Leu. dextranicum 김치를 제외하면 김치의 품질은 Leuconostoc속 김치들은 모두 스타터 비접종 김치와 비슷하였으나, Lactobacillus속의 김치들은 스타터 비접종 김치보다 나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