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Report of a case

TOF 완전교정술후 발생한 심실빈맥의 외과적 절제술 -치험1례보고-

  • 장병철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타 심장혈관외과) ;
  • 김정택 (연세대학교 심장혈관센타 심장혈관외과)
  • Published : 1996.06.01

Abstract

A 14-year-old male patient with previous surgica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was admitted with hemodynamically significant ventricular tachycardia (VT). On preoperative electrophysiologic study (EPS), the morphology of documented VT was RBBB of vertical axis with 320 msec cycle length. The endocardial mapping during VT delineated the origin of VT at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RVOT), where the patch was attached. The clinical VT had a clockwise reentry circuit around the patch with the earliest activation at the same site seen during the preoperative EPS. The previously placed right ventricular outflow patch and fibrous tissue were removed. During a postoperative EPS, it was no longer possible to induce the VT. Ventricular tachycardia following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seen in this patient was caused by a macro-reentry around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patch. We were able to ablate the VT with the aid of a detailed mapping of its epicardial activation sequence.

14세 남자환자로 최근 3년간 반복된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8년전에 TOF로 진단받고 완전교정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도자 검사에서 우폐동맥폐쇄와 그에 따른 우심실압력상승을 보였고 전기 생 리학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중격부위 에서 기 원하는 회귀성 심실빈맥으로 진단되 었다 한 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한 심실외막전기도검사에서 심실빈맥의 회귀성회로는 첩포 원위부 좌측 의 심실중격쪽 심근에서 가장 빨리 나타나 시계방향으로 청포주위를 돌아 우심실유출로 우측 심근을 활 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채널 심장전기도시스템을 이용한 심실심외막전기도 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첩 포주위를 )20 msec 주기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귀하는 심실빈맥을 관찰할 수도 있었 다. 수술은 우심실유출로의 첩포와 섬유화된 조직을 제거하고 우심실유출로 상연에서 폐동맥 판막륜까지 절개를 하여 회귀성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폐동맥 판막륜과 심실중격사이 에는 회귀성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냉동병소를 만들었다. 우폐동맥이 발달되지 않아 우폐동맥재건술은 하지 못하였다. 수술후 전기생리학 검사에서는 더 이상심 퓟窄팀\ulcorner유발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TOF완전교정수술후 우심실유출로 첩포와 일부 우심실 심근주위에 slow conduction지 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한 macro-reentry심실빈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로서 치료되지 않을 때는 catheter ablation이나 외과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외과적 절제를 할 때에는 우심실유출로와 폐동 맥 판막륜사이의 심근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우심실유출로재건을 하는것이 중요하다.성 거부반응 1례, 크기불일치 에 의한 만성 이식부전증이 1례, 천식 발작에 의한 호흡부전이 1례, 지주막하출혈 1례, 체액 성 거부반응이 의심되는 경우가 1례 였다. 이상의 단기간성적을 통해 심장이식분야에서 더욱 발전을 요하며, 특히 이식공여자 및 수혜자의 선택 이나 술후 감염관리 및 체 액성거부반응치료 등에서 더욱 진전이 있어야 하겠다.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의공학회지 v.16 no.1 64 챈널 심장 전기도시스템에 관한 연구 장병철;김남현;정성헌;라상원;김성순;조범구
  2. J Am Coll Cardiol v.21 From the bedside to the basic science laboratory : Arrythmias in Fallot's tetralogy Ross,B.A.M.D.
  3. Circulation v.52 Status of the adult and adolescent after repair of tetrallogy of Fallot Garson,A.;Nihill,M.R.;Mcnarama,D.G.;Cooley,D.A.
  4. J Am Coll Cardiol v.21 Rapid ventricular pacing in dogs with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Dryer,W.J.;Paridon,S.M.;Fisher,D.J.;Garson,A.
  5. PACE v.16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of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tachycardia late after complete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using the pace mapping technique Burton,M.E.;Leon,A.R.
  6. Circulation v.90 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surgica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Misaki,T.;Tsubota,M.;Watanabe,G.
  7. J Am Coll Cardiol v.20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surgical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 results of intraoperative mapping studies Downar,E.;Harris,L.;Kimber,S.(et al.)
  8. PACE v.17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as a primary therapy for ventricular tachycardia in a patient after repair of tetralogy of Fallot Goldner,B.G.;Cooper,R.;Blau,W.(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