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rigin and the images of violet

보라색의 유래 및 이미지의 고찰

  • 김은경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석사) ;
  • 김영인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1996.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suggest useful data in use of kinds of violet that is resulted from general color images of violet. The origin, history, and general images of kinds of violet were studied, and were classified vased on documcntary reviews.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kinds of violet were used purple, violet, mauva, and magenta in the order of appearance of its color names and the categories of violet had been extended from dark reddish violet to affilicated colors of bright violet by development in synthetie dyestuff. 2) The kinds of violet has neutral characters due to the combination of two extreme colors, red and blue, and thereby revealing voth attreibutes in terms of symbolic, emotional, and spychological features of colors. The positive images in kinds of violet can be classified as nobleness, holiness, mysteriousness, sleep/sedation, sensuality, femininity, fragrance, and the negatibely classified images are weakness, sadness, maelancholiness, death(for example, the mourner's gard in royal families), symbols of moral corruption, and superstition.

본 연구는 최초의 합성염료인 보라색을 중심으로 보라색의 유래 및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 이미지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서,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는 보라색의 종합적인 색채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 이름의 특성에 의한 고찰 결과, 보라색은 퍼플, 바이올렛, 모브, 마젠타 순의 색 명으로 사용되어왔으며, 어두운 붉은 보라계열에서 합성염료의 개발에 의한 밝은 보라계열까지로 확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2)보라색은 색채 표현적 특성상 심리적, 상징적, 감성적으로 양극단의 성격을 지닌 빨강과 파랑이 혼합되어 양면적인 속성을 지닌 중성 색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긍정적인 이미지는 고귀한·신성한·신비한·수면·진정·관능적·여성적, 향기로운 이미지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부정적인 이미지는 연약함·슬픔·우울, 죽음(왕가의 상복), 타락한 힘의 상징, 미신 등의 이미지로 분류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