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Green Design for a Drink Vending Machine

음료자동판매기의 그린디자인에 관한 연구

  • 문금희 (서울기능대학 산업디자인과)
  • Published : 1996.12.01

Abstract

With the change of patterns and the environment of the national standard of living the proh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became increasingly serious. Because of the enormous increase of various kinds of used and (after utilization) useless articles, efforts to save resources as well as the environment and the promotion of reprated utilization and recycling are inavoidable. The recognition of an environmental an health problem, and the desire for nonpollution created a desire for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in order to avoid an environmental consumptionism. Drink vending machines making use of vessels only once are closely related to the environmental problem.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an ecologically designed vending machine. In this study the backgrounds and concepts of green design, classification, construction and the environment of a drink vending machine arc analyzed. From this st1.rting-point a concept for the design of a drink vending machine is developed by two concepts : Type A (seperated-gathering type) and Type B (recycling type). Then three defferent types of vending-machines arc introduced a wall -adherable type, a center est1.blishable type and a desk top type. The conclusion of the text is threefold. There are needs for an ecological design of vending machines, ergonomIc considerations and a harmonization of the styldapperarance) of the machine and its circumferences.

국민들의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생활패턴의 변화와 더불어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다. 각종 폐기물의 급증으로 파괴되는 환경의 보전을 도모하기 이해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국민들의 건강,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강화되고 무공해에 대한 갈망이 환경상품에 대한 욕구로 대체되어 환경소비주의를 대두시켰다. 음료자동판매기는 일회용 용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환경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고 따라서 그린디자인이 적용되어야만 하는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디자인의 배경 및 개념과 음료자동판매기의 분류, 구조 및 환경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것을 배경으로 하여 음료자동판매기의 그린디자인 전개방향에 대한 컨셉을 설정하였고 대안들을 분리수거형과 재사용형으로 선정하였다. 대안들을 다시 벽면부착형, 중앙설치형 및 데스크탑형의 셋 방향으로 포커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음료자동판매기의 디자인을 위해서는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그린디자인, 사용 성을 높이기 위한 인간 공학적 배려와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위한 조형이미지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