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산화수를 이용한 김치의 초기 미생물 제어 효과

Effect of Electrolyzed Acid-Water on Initial Control of Microorganisms in Kimchi

  • 발행 : 1996.10.01

초록

김치 제조시 보다 철저한 재료 세척과 이에 따른 김치제품의 초기 미생물제어를 목적으로 전해산화수를 세척매체로 이용하였다. 원료배추를 전해산화수로 1회 세정한 결과 전해산화수를 사용한 처리구는 수도수 처리에 비해 총 균수 및 대장균수가 약 1/2수준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김치양념에 대한 수도수 및 전해산화수 처리에 따른 미생물수의 차이를 볼 수는 없었으며 이는 주로 양념 중의 고춧가루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절임수를 전해산화수로 사용했을 경우 절임수 자체의 총 균수에서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어 전해산화수를 사용했을 때가 약 1/270 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절임 배추를 전해산화수로 세정한 경우에는 총 균수가 수도수 처리구에 비해 1/16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대장균군 및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절임 전후를 비교했을 때 전해산화수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절임후 총 균수가 1/4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대장균군은 거의 완전히 사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도수를 사용한 처리구에서는 총 균수가 오히려 1.7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증가는 제조 공정 중의 2차적인 오염이 그 원인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배추김치의 발효 중 총 균수 변화에 있어서 발효 15일까지는 전해산화수 처리구가 비교적 낮은 총 균수를 나타내었으나 발효 20일경이 지나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발효 중 pH는 발효 15일까지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20일경 부터는 차이가 매우 미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산도에서도 유사하여 발효 20일 부터는 거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o lessen the initial level of microorganisms, electrolyzed acid-water was used as washing and brine water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n the washing and salting processes, application of electrolyzed acid-water showed a possibility to lessen the microorganism level of Chinese cabbage effectively. Microbial level of Chinese cabbage was reduced to about 1/4 level by salting and washing process with electrolyzed acid-water while Chinese cabbage salted with tap water increased to about 1.7 times. And no coliform and E. coli were detected.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asoning mixtures prepared with electrolyzed acid-water and with tap water were not observed in microbial levels. Relatively low level of total count in kimchi prepared with electroyzed acid-water was kept until 15 days of fermentation at $10^{\circ}C.$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was not observed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pH and acidity were showed the same tendencies as microbial count.

키워드

참고문헌

  1. 제 1회 인제식품과학 포럼 논총 전통식품의 위생과 안전성에 관한 연구현황 및 과제 신효선
  2. 김치의 과학기술(제2판) 한국식품개발연구원
  3. 한국농화학회지 v.25 배추김치의 순간살균 조건이 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이남진;전재근
  4. 한국식품과학회지 v.23 효소 및 염의 첨가와 순갈열처리가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강근옥;구경형;이형재;김우정
  5. 한국식품과학회지 v.23 김치저장성 향상을 위한 염혼합물 첨가 김우정;강경옥;경규항
  6. 한국식품과학회지 v.21 방김치의 숙성관련 주요 젓산균 살균에 대한 가열처리와 방사선조사의 병용 효과 변명우;차보숙
  7. 한국식품과학회지 v.21 김치 저장성 연장을 위한 gama선 조사 차보숙;김우정;변명우;권중호;조한옥
  8. 食品工業 v.38 機能水の開發と應用の現況 酒井重男
  9. 食品加工技術 v.14 食品加工における電解處理水 應用 米安 實
  10. 식품기술 v.9 기능수의 연구동향 박형우
  11. 최신의학 v.38 병원균에 대한 초산화수(전해산성수)의 살균효과 김의중;오홍범;석종성
  1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6th ed.)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O.A.C.
  13. 한국영양학회지 v.12 장내세균의 김치유산균에 대한 길항작용 윤숙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