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al Improvement of Hot Melt Adhesive Using Polyamide Type Resin -(I) Physical Properties of Adhesives-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한 핫멜트 접착제의 기능 향상 -(I) 접착제의 물성-

  • 전영식 (서일화학(주)) ;
  • 홍영근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 정경호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고분자공학과)
  • Received : 1995.11.02
  • Accepted : 1995.12.20
  • Published : 1996.02.12

Abstract

Hot melt adhesive based on the polyamide resin was studied to improve the conventional hot melt adhesives such as ethylene-vinyl acetate which have inherent problems against creep and heat resistance. It was found that the terpolymer of nylons6, nylon66, and nylon12 or the nylon blend instead of nylon homopolymer was suitable base resin for hot melt adhesives, since the disruption of regularity in the polymer chains reduced the crystallinity, resulting in lower melting point and melt viscosity. Also,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polyamide based hot melt adhesive could be controlled by the incorporation of terpene resin, butyl benzyl phthalate, and paraffin wax. The results of melt viscosities and tensile properties of adhesive itself indicated that the optimum adhesion properties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blending of CM831/843P resins with weight ratio 75/25~50/50. The adhesion between steel and steel was tested by using lap shear geometry. It was found that the surface roughness of steel affected the adhesion strength.

기존의 ethylene-vinyl acetate 핫멜트 접착제는 시간에 따른 크리프 특성과 내열성 등의 한계로 사용에 제한이 있으므로 물성의 향상을 위해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한 새로운 핫멜트 접착제 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폴리아미드 단일중합체의 경우 융점과 용융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대신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로 이루어진 삼원공중합체 혹은 블렌딩 수지를 사용하므로써 분자쇄의 규칙성 파괴로 인해 용융점도와 용융점을 강하시킬 수 있었다. 이로써 선택된 수지가 핫멜트 접착제의 베이스 수지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베이스 수지에 테르펜 수지, butyl benzyl phthalate, 파라핀왁스 등을 첨가하여 접착제를 구성함에 따라 유변학적 거동도 쉽게 조절될 수 있었다. 용융점도와 접착제 자체의 인장물성 결과에 따르면 사용된 CM831과 843형 폴리아미드 수지를 약 75/25~50/50의 무게비로 블렌딩함이 최적의 접착력을 나타내리라 평가되었다. 또한 steel간의 접착력 평가 결과 steel 표면의 거칠음 정도가 접착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얻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통상산업부

References

  1. Adhesive Age P. Borg;J. Boutillier
  2. Adhesive Age T. E. Baker;G. C. Fix;P. Gianas;J. S. Judge
  3. J. Appl. Polym. Sci. v.28 J. K. Rasmussen;H. K. Smith Ⅱ
  4. U. S. Pat. 2,867,572 J. F. German;E. F. Degering
  5. U. S. Pat. 4,045,389 M. Drawert;E. Griebsch;W. Imoehl
  6. U. S. Pat. 4,396,759 M. Drawert;W. Imoehl
  7. Ger. Offen. DE 3,315,529 E. Seiji
  8. J. Appl. Polym. Sci. v.21 A. N. Gent;G. R. Hamed
  9. Chem. Technol. v.55 A. N. Gent;G. R. Ham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