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ditory in formation and Planning of Reactive Interface

리액티브-인터페이스설계와 청각정보

  • 김상식 (목원대학교 산업미술과)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These days we live in society which the expanion and variety f information continuse with the evolution of technology. However, because much information exists in a black box, we have difficulty in using information embodied in products. For example, companies do not consider that much the position of users in using information and they thnd to tely too much on LCDs. But the limitation of monitors' screen and the tendency of miniaturization cause users some burden in obtaining visual information.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tudy an extent to which the auditory information is able to support userinterface, to compare it with the visual information, and eventually to find the way of suing auditory information as a means of expression.

오늘날 우리사회는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인간의 지식과 축적, 그리고 전달 등의 수단으로 정보의 확대, 다양화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는 블랙박스 화되어 우리가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점에서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특히 기기의 조작에 있어서 기존 대부분의 기기 들은 정보의 이용이란 측면을 소홀히 다루었다는 점과, 제품 등에 있어서 시각정보에 너무 의존하여 LCD나 모니터 화면이 한정되어 시각정보전달을 위한 탑재기능의 한계성과 제품의 소형화가 유져(User)로 하여금 부담을 갖게 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청각정보이용에 대하여 수요도 높아져 지원환경에도 새로운 제안이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제품의 조작과정에서 청각정보가 유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고 있는 범위를 고찰하고 또한 시각정보(그래픽 컬 유져 인터페이스)와 비교 검토하여 궁극적으로 청각정보의 리 액티브 인터페이스를 획득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