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ackage Design as Special Products of a Region- Focused on Dried Seafoods-

지역특산물로서의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어물을 중심으로-

  • 신인식 (동명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
  • Published : 1997.05.01

Abstract

Today seafoods, such as fisheries and clams,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our diet. But processing and storing these perishable seafoods for a long period of time present a serious problem. Only a few years ago, the seafood consumption was minimal. However, an improvement in our diet has enabled us to enjoy seafoods more often than before. Moreover, the recent trend toward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rat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improvement in the standards of living have accelerated a change in our food consumption pattern-preference for the convenient foods over time consuming cooking. Judging from these changes, we can easily predict that the demand for the covenient, dried seafoods will rise sharply in the coming days. The development for an innovative and attractive way to package and market these products are on the wa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channel and package design of the dried seafoods will offer a wide array of opportunities to increase the sales volume of the dried seafoods. In addition, by associating the image of Pusan, as a prime oceanic city, with the dried seafoods on the package will certainly draw the attention of many prospective consumers. Consequently it will make the dried seafoods special products of Pusan,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the prosperity of the city.

오늘날 우리들의 식생활에서 어육 등 해산물을 이용하는 식생활은 우리 생활에서 아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산물을 가공하고 장기보존 하는 방법이 아주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불과 수년 전만 하여도 그 소비가 다양화되지 못하였지만, 경제적, 사회적 변화와 식생활의 개선으로 필수 기호식품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인구의 도시집중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사람들의 소비관습의 변화, 즉 인스탄트 식품이나 즉석에서 먹을 수 있는 완전 가공식품 등의 극도로 편리한 식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환경 적, 변화에 따라 건어물 제품은 편리한 식품으로서 앞으로 수요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며, 따라서 포장재료나 포장방법에 있어서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부산 지방의 특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 건어물의 유통 실태 및 포장디자인의 현황을 알아보고 건어물 포장방법의 연구와 부산의 시각적 이미지를 제품포장에 도입함으로써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인구의 저변확대를 꾀함과 동시에 건어물을 부산지방 특산물화 시켜 관광 상품으로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함과 동시에 지역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