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Impact Prediction and Biological Basic Management by Development of Deokjin Park, Chonju City

전주시 덕진공원의 개발이용에 따른 생물학적인 영향예측과 기초관리방안

  • Kim, Sei-Cheon (Dept. Landscape Architecture of Agriculture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oun, Chang-Ho (Dept. of Biology Natural Science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Ik-Soo (Dept. of Biology Natural Science Colleg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세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조경학과) ;
  • 윤창호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김익수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7.06.20

Abstract

To know of the biological basic method that can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organisms that inhabit at Deokjin Park. We studied the flora and the fauna in Deokjin Park on June, 1996. The study was surveyed and researched according to the items floras, phytoplanktons, insects and vertebrates. The floras are composed of eleven varieties, one forma, eighty-three species, eighty-four genera and forty-nine families. In the lake of Deokjin Park, the dominant species were Nelembo nucifera and Spirodela polyrhiza. The authors thought that those species be artificially excluded in winter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water. The phytoplanktons were composed of forty genera, eighteen families, ten orders and six classes. Among those, Anacystis(=Microcystis) and Anabaena that make eutrophic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lake of Deokjin Park. The fauna of insects were composed of forty-one species, thirty families and eleven orders. The authors observed seven species of fish, two species of amphibian, three species of reptile, seven species of the bird and one species of mammal. Among those, Bull-frog and Blue-turtle as exotic species must be excluded by artificial methods for the other native organisms of the lake of Deokjin Park.

덕진공원의 생물상을 조사하고 환경 및 생물의 서식 상태를 개선한 수 있는 기초적인 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996년 6월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식물상, 플랑크톤 조사, 곤충상, 척추동물상(어류, 양서류, 파충류, 조류, 포유류)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식물상은 모두 49과 84속 83총 1품종 11변종으로 확인되었다. 호수에는 연꽃 Nelembo nucifera과 개구리밥 Spirodela polyrhiza이 우점종을 차지하였고, 수질개선의 측면에서 동절기에 이들의 제거가 요구된다. 덕진공원 내에 플랑크톤은 6강 10목 18과 40속이 출현하였고 이중 부영양화 현상을 일으키는 Anacystis(=Microcystis)와 Anabaena가 출현하였다. 공원내에서 출현하는 곤충은 11목 30과 41종으로 확인되었고 보다 많은 곤충이 모이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화초류을 심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어류는 7종, 양서류는 2종, 파충류는 3종, 조류는 7종 및 포유류는 1종이 관찰되었다. 이중에서 황소개구리와 청거북과 같은 외래도입종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