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pensity of Formative Presentation by Line Drawing

라인드로잉에 의한 디자인 조형의 표현성향

  • 우흥룡 (서울산업대학교 조형학부 공업디자인 학부)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During design thinking and developing, its idea into the real world, and we are under pattern recognition and gestalt principles of perceptual organization. Generally originality is a part of creativity which consists an integral factor of the designing. This is a study on the measure system for an ability of originality in design. It is reorganized that the OTLD(Originality Test of Line Drawing) is a measuring system for personal originality. In order to catch the development the thoughts, we presented 10 picture planes as stimuli (each picture plane contained 3-18 dots), recorded the tape displaying eye-mark trajectories and outputting the trajectories with EMR(Eye Mark Recorder), then found the process of visual sensation and percep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nections and complexity of the objects on the picture plane, which could be transformed into some objective measuring parameters. We would suggest this OLTD as a measurement system for an ability of originality in design fields, but we couldn't find any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fine art fields.

본 연구는 형태적 사고에 의한 드로잉 표현을 바탕으로 조형적 독창력의 측정과 평가에 대한 근거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이다. 조형사고의 전개를 이해하기 위해 점으로 구성된 자극 화면에 의한 OTLD테스트와 EMR 궤적을 통하여 형태의 지각과 인지 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로서, 조형표현의 객관적 관점으로서 자극화면에 의한 라인드로잉의 연결성과 표현대상 개념의 복합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디자인 사고의 핵심으로 창조성은 독창성을 에워싸고 있는 상위개념이 된다. 여기에서는 그 하위개념인 독창성 테스트(OTLD)를 통하여 실험한 결과, 1차 연구 결과-일정기간 경과 후 유의 성을 가지고 희귀 성향을 보이고 있음-과 본 연구결과-연결성과 표현대상 개념의 복합성의 관련성-을 토대로 디자인 조형 력 측정의 기초 실험 모델로 설정이 가능하다고 본다. 금후 이에 대한 보완연구를 통하여 디자인 분야의 조형적 독창력 측정방법이 실용화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