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vestigation on kitsch characteristics in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craft object

공예품 생산과 수용의 키치적 특성 고찰

  • 정희균 (가야대학교 예술학부 요업디자인과)
  • Published : 1998.08.0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special quality which has craft-kitsch as a typical objects in modern mass consumption society. Today, kitsch is one of the most general object for understanding of our lifestyle. Accordingly, there is close correlation between craft objects and kitsch. But, discuss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raft and kitsch have not dealt quite satisfied up to the present. This paper draws up as a basic study on craft-kits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 of kitsch and craft in modern society.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kitsch-characteristics in craft production 1. style of compromise 2. a false presentation kitsch-characteristics in craft reception 1. nostalgia in the past 2. ostentation and distinction 3. cultural enjoyment as self-consolation 4. self-satisfaction as possession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의 공예품의 생산과 수용에 관한 현실적 이해로써의 공예키치에 관련된 키치적 특성에 대한 것이다. 오늘날 키치는 우리생활환경의 이해를 위한 중요한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공예품과 키치는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바탕을 염두에 두면서 현대사회에서 키치가 어떻게 공예품 생산과 수용에 내재하는가를 목적으로 작성 되었다. 이에 공예품 생산의 키치적 특성으로는, 1. 절충주의적 양식 2. 허위적 연출성 공예품 수용의 키치적 특성으로는, 1. 소유의 자기만족 2. 자기위안으로써의 문화적 향유욕구 3. 과거에의 향수심리 4. 과시와 차별화로 요약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