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ols to Understand Interior Noise due to Road Excitation in Cars

노면 가진에 의한 실내 소음 해석 방법

  • Published : 1998.12.01

Abstract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in cars is mainly due to structure-borne excitations which are related with road excitation and component vibrations such as suspension and engine mounts. In order to analyze the annoying interior noise. a technique (Transfer Path Analysis) is introduced to find a noise source and the path of that noise. In this study, TPA is reviewed theoretically and applied to investigate the case when the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at front seat due to road excitations needs to be optimized.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appraisal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that a testing vehicle traveled on asphalt at 30 km/h. so that the low frequency to be eliminated was detected. The related vibration and noise data for TPA were measured on running and static vehicle. The results reveal that the noise contribution along the z-direction of trailing arm is prominent to low frequency interior noise.

실내 저주파 소음은 도로가진, 차량 현가 또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차량 샤시 부품의 진동인 구조 진동에 기인한다. 실내 저주파 소음을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소음 원의 위치 및 소음 전달경로를 추적하는 기술인 TPA (Transfer Path Analysis) 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TPA 기술을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도로가진에 의해 앞 좌석에서의 실내 소음에 기여도가 가장 큰 샤시 부품을 찾는 Case Study를 소개하였다. TPA를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도로가진에서 소음으로 연결되는 계측과 실차 운행 상태의 진동 데이터 계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스팔트 도로에서 시속 30 km/h로 달리면서 관능 평가와 진동 소음 계측 평가 모두를 실시하여 문제가 되는 저주파 실내 소음을 확인하였다. 시험 분석 결과 Trailing Arm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이 앞 좌석 저주파 실내 소음에 대한 기여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