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의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 목재자원(木材資源)의 이용개발(利用開發)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복합목재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침투기구-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ajor Wood Resources in Kangwon-do -Permeability system of monomer in wood polymer composites-

  • 이원용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
  • 이성재 (강원도 산림개발연구원)
  • 발행 : 1998.06.30

초록

주요 침 활엽수재에 대하여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만든 목재-polymer복합체에 대하여 polymer의 분포와 존재상태등을 목재의 조직학적인 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의 침투성은 수종에 따라 다르며 수종고유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낙엽송은 침투성이 대단히 나쁘며 활엽수재에 있어서는 환공재가 산공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2. 횡단면에서 침투성이 가장 양호하며 방사단면과 접선단면에서의 주입은 저하되고 양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 동일 수종에서는 변재가 섬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수종에 따라 변심재간에 침투성이 다른 것은 심재화에 의한 tyloses의 형성 또는 도관중의 침착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4. 환공성 수종에서는 조재부가 만재부보다 polymer의 침투성이 양호 하였으며 산공재에서는 반대로 만재부가 조재부보다 침투성이 양호하였다. 5. 도관의 크기와 침투성과의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관의 직경이외에도 도관의 비율, tyloses의 발달, 내용물의 충진 혹은 천공판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6. 침엽수재 방사조직에 있어서는 방사유세포보다 방사가도관의 침투성이 양호하였으며 활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량체의 방사방향에 미치는 영향은 침엽수재보다 적었다. 7. 비중과 연륜폭은 모두 polymer의 침투성과 거의 관계가 없었다.

In this paper, it has been discus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natomical features of woods and the penetration of methyl methacrylate monomer system into major Korean tree species, especially the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Quercus mongolica and Tilia amurensis. 1. There was some differences in penetration of polymers among different tree species, but generally the penetration of ring porous woods seems to be larger than that of diffuse porous woods and it was very difficult to penetrate to Larix leptolepis, especially to the that of heart wood. 2. The penetration on transeverse surface was relatively easy but radial and tangential impregnation were somewhat hard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were negligible. 3. The penetration of sapwood was larger than that of heartwood and its differences varied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tyloses or contents in vessel. 4. Generally the polymer penetration of earlywood was larger than that of latewood in ring porous woods, but on the contrary, penetration of earlywood was small than that of latewood on diffuse porous woods. 5. Vessel diameter of wood had nearly no relation to polymers penetration. This seems to come from the reason that effective vessel diameter varies with the existence of tyloses or contents in vessel. 6. The penetration of ray tracheids was larger than that of ray parenchyma cells in softwoods, but penetration of hardwood rays seems to be small in comparison with softwood ray parenchyma cells. 7. Specific gravity and annual ring width had no relation to the penetration of polym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