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Vitro Test of Thrombogenesis in Centrifugal Biopump

원심성 바이오 펌프를 이용한 혈전 생성의 생체 외 검사에 관한 연구

  • Na, Myung-Hoon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Won-Gon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oo-Hyun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Mee-Hyung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Yu, Jae-Hyeon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im, Seung-Pyung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ollege of Medicin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나명훈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원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주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김미형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유재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임승평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 이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0.01

Abstract

배경: 혈전 생성은 심혈관계 삽입물이나 순환 보조장치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므로 이러한 장치들의 혈전성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들의 혈전성 연구를 시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생체 외 실험 방식이 개발되어 원심성 순환 펌프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최근 엄밀하게 혈액과 공기의 접촉을 차단하는 방식이 믿을 수 있는 생체 외 실험 방식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하여 기존에 행해진 연구 방법 상의 공기 접촉에 따른 핼액 응고 기전의 활성화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공기 접촉 여부에 따른 혈액 인자의 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하고, 또한 회로 내에서 생성된 혈전을 생체 내에서 형성된 혈전과 비교 분석하여 이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한 생체 외 검사가 새로 고안된 심혈관계 장치들의 혈전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동물실험을 대신할 수 있다는 기존의 주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바이오펌프를 이용한 같은 모의 순환 회로 한 쌍을 준비하고 동일 개체에서 얻은 헤파린을 첨가한(1u/$m\ell$) 신선한 혈액을 공기와 접촉시키지 않도록 한 A-회로와 공기와 접촉시킨 B-회로에 충전시켜 실험을 동시에 진행하여 결과를 얻었으며 총 12번 시행하였다. 회로에 충전한 혈액의 activated clotting time(ACT)은 정상의 3~5배였으며 ACT가 정상 범위의 1.5배가되면 실험을 끝냈고, Hematocrit(HCT), 혈소판, 동맥혈가스분석(ABGA), factor Ⅷ, factor \ulcorner, 섬유소원, thromboxane B2(TXB2), free hemoglobin(fHb)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A-회로와 B-회로에서 얻은 각 검사를 평가하고 분석하였으며 생성된 혈전을 생체 내에서 생성된 혈전과 조직 검사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 0.05를 기준으로 유의도를 판단하였다. 결과: 정상 ACT는 186.9$\pm$20.5초(평균$\pm$표준편차)이었고, 헤파린을 넣은 초기 ACT는 982.2$\pm$165.5초이었으며, 실험시간은 보통 60분에서 180분 사이였다. HCT, fHb, 혈소판, TXB2, factor Ⅷ, factor \ulcorner, 섬유원소의 초기값은 35.5$\pm$3.2%, 12.4$\pm$6.5 mg/dL, 354$\pm$56($\times$103)/$\mu$L, 72.6$\pm$15.1 mg/dL, 29.3$\pm$1.2%, 137.9$\pm$42.1 mg/dL, 그리고 17.7$\pm$9.7%이었다. 공기 접촉에 따른 차이를 보았을 때 ACT(p=0.398), HCT(p=0.988), fHb(p=0.898), 혈소판 (p=0.904), TXB2(p=0.985), factor Ⅷ(p=0.872), factor \ulcorner(p=0.489), 섬유원소(p=0.973)으로 전 예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실험 후 양 군에서 생성된 혈전의 현미경 소견은 B-회로의 혈전에 여러 군데 공기 방울이 관찰되는 것 이외에 A-회로에서 생성된 혈전과 차이가 없었고, 생체에서 생성된 혈전과 비교했을 때 그 양상이 같았다. A-회로와 B-회로에서 생성된 혈전의 총 량은 8.4$\pm$3.7 mL와 9.4$\pm$3.1 mL로 통계상 유의성은 없었다. (p=0.624). 결론: 모의 순환 회로를 이용한 혈전성 평가를 위한 생체 외 실험에 있어서 공기와의 접촉 여부는 혈액 응고 기전의 활성화나 혈전 생성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모의 순환 회로에서 형성된 혈전과 문헌에 있는 인체 내에서 형성된 혈전을 비교한 결과 그 형태가 일치하므로 이 모의 순환회로를 이용한 실험이 동물실험을 대신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SAIO Trans v.35 An in vitro test model to study the performance and thrombogenicity of cardiovascular devices Swier P;Bos WJ;Mohammad SF;Olsen DB;Kolff WJ
  2. Artif Organs v.17 Thouglus and Progress. In vitro henatologic testing of rotary blood pumps. Remarks on standardization and data interpretation Mucller MR;Schima H;Engelhardt H;Salat EA(et al.)
  3. Artif Organs v.17 no.7 In vitro investigation of thrombogenesis in Rotary blood pumps Schima H;Siegl H;Mohammad SF;Huber L;Mueller MR;Losert U;Thoma H;Wolnei E
  4. Artif Organs v.21 no.7 In vitro thrombogenesis in the Gyro ClE3 for vibration assessment Nakazawa T;Tayama E;Takami Y;Glueck J;Nose Y
  5.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5th ed.) Cotran RS;Kumar V;Robbins SL
  6. ASAIO trans v.37 no.4 Influence of centrifugal blood pumps on the elasticity of erythrocytes Schima H;Schlusche C;Jeremejev BV;Schor I(et al.)
  7. Aritif Organs v.17 no.3 Mechanical blood tranmatization by tubing and throttles in In Vitro Pump test : Experimental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Hemolysis theory Schima H;Mueller MR;Tsangaris S;Gheiseder G(et al.)
  8. J Am Soc Artif Intern Organs v.4 Species differences in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influence of curate and heparin anticoagulation thereon Wurzinger LJ;Schmid-Schonbein H
  9. J Cell Biochem v.47 Facile platelet adgesion to collagen requires metabolic energy and actin polymerization and evokes intracellular free calcium mobilization Smith JB;Danglmaier C;Selak MA;Daniel JL
  10. Cir Res v.62 Acute pulmonary vasoconstriction and thromboxane release during Protamine reversal of heparin anticoagulation in awake sheep Morel DR;Lowenstein E;Nguyenduy T;Robinson DR;Repine JE;Chenoweth DE;Zapil WM
  11. Clinical blood rheology Erythrocyte deformabthty Stuart J;Lowe GDO(ed.)
  12. Hemostasis and Thrombosis Interaction of blood with artificial surfaces Salzman EW;Merrill EW;Coleman RW(ed.);Hirsh J(ed.);Marder VJ(ed.);Salzman EW(ed.)
  13. J Am Col Cardiol v.21 Effect of aspirin in arterial thrombosis : Why don't animals behave the way lnimans do? Mehta P;Mctha J
  14. Vascular Surgery (3rd ed.) Antithrombotic therapy Ware JA;Lewis J;Salzman EW;Rutherford RB(ed.)
  15. Hemostasis and Thorombosis (2nd Ed.) Overview of hemostasis Coleman RW;Marder VJ;Salzman EW;Hirsh J;Coleman RW(ed.);Hirsh J(ed.);Marder VJ(ed.);Salzman EW(ed.)
  16. ASAIO abstracts Early hemotological Changes in calves with paracorporeal left ventricular assist device Mohammad SF;Snossian S;Swien P(et al.)
  17. Summary of the workshop on Centrifugal pumps 1985 Berlin · Heimann Fortinger Inst Mechanical blood trauma Wurzinger LJ;Opitz R;Eckstein H;Affeld K(ed.);Yaganathan A(ed.0
  18. Can J Comp Med v.41 Evaluation of techniques for counting bovine platelet Maxie MG
  19. Br Med Bull v.34 Unstable Metabolites of arachidonic acid and their role in hemostasis and their role in hemostasis and thrombosis Moncada S;Vane JR
  20. Int J Artif Organs v.7 A native whole blood test for the evaluation of blood-surface interaction Determination of thromboxane production Mantovani E;Marconi W;Cebo b(et al.)
  21. Trans Am Soc Organs v.29 The biochemical mechanism of shear-induced platelet aggregation Hardwick RA;Gtitsman HN;Stromberg RR;Friedmann LI
  22. Korean J Blood Transfusion v.7 no.1 Changes in platelet activation Markers by leucocyte-removal filters Chac SL;Cha YJ;Park AJ
  23. Trans Am Soc Artif Intern Organs v.32 Complement activation produced by biomaterials Chenoweth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