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eld emission properties of diamond-like carbon films deposited by ion beam sputtering

이온빔 스퍼터링으로 제작된 다이아몬드성 카본 필름의 전계 방출 특성

  • Published : 1999.02.01

Abstract

Field emission behaviors from diamond-like carbon films were investigated. The films were deposited on n-type Si wafer by ion beam sputtering method using 3 cm Kaufman type ion source. Regardless of the film thicknesses and atomic bond structure, the emission current was much enhanced by electrical breakdown between anode and the film surface. The effective work function was estimated to be about 0.1 eV. In order to identify the emission site, tungsten tip was scanned the damaged region damaged region but localized to a specific site. Analysis using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nd SEM shows that SiC compound was not a sufficient condition for the electron emission. This result showed that the enhanced emission was mainly due to the changes in the chemical bond of the damaged region rather than the enhanced electric field caused by the morphological change.

이온빔 스퍼터링 방법으로 n-type si 기판에 고팅된, 수소를 함유하지 않은 다이아몬드성 카본 필름의 전계 방출 특성을 조사하였다. 필름의 구조나 두께에 관계없이 전계 방출 전류는 양극과 시편의 표면사이에서 발생하는 electrical breakdown에 의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이때의 effective work function은 약 0.1eV의 작은 값을 가지고 있었다. 텅스텐 tip을 이용하여 breakdown에 의해 발생한 시편표면의 손상수위 근처를 scanning 하면서 전계 방출 전류를 측정하여, 전계 방출이 일어나는 정확한 위치를 확인하였다. 전계 방출은 breakdown에 의해 발생한 표면 손상 부위의 모든 곳에서 균일하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부위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되었다. Auger electron spectroscopy와 SEM을 이용한 분석을 통해 손상 부위 중 Si과 C의 화합물이 형성된 곳에서만 절계 방출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손상부위의 형상변화는 전계 방출의 충분조건이 아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breakdown에 의한 전기 방출 전류의 증가는 시편 표면의 형상 변화에 의한 전계증진의 효과보다는 표면에서 발생하는 화학적 결합의 변화에 기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J. Appl. Phys. v.39 C. A. Spindt
  2. 2nd Int'l Conf. on Vacuum Microelectronics, Vath, U. K., IOP conf. Series 99 V. I. Makhov
  3. J. Vac. Sci. Technol. v.B12 V. V. Zhirnov;E. I. Givargizov
  4. Phys. Rev. v.B20 F. J. Himpsel;J. S. Knapp;J. A. VanVecten;K. E. Eastman
  5. J. Vac. Sci. Technol. v.B15 no.2 K. C. Park;J. H. Moon;S. J. Chung;M. H. Oh;W. I. Milne;J. Jang
  6. J. Appl. Phys. v.82 no.7 J. S. Lee;K. S. Liu;I. N. Lin
  7. J. Vac. Sci. Technol. v.B12 D. Hong;M. Aslam;M. Feldman;M. Olinger
  8. Appl. Phys. Lett. v.65 Z. H. Huang;P. H. Cutler;N. M. Miskovsky;T. E. Sullivan
  9. J. Phys. v.D26 N. S. Xu;Y. Tzeng;R. V. Lattam
  10. J. Vac. Sci. Technol. v.A14 A. A. Talin;T. E. Felter;T. A. Friedmann;J. P. Sullivan;M. P. Siegal
  11. Thin Solid Films v.290 K. R. Lee;K. Y. Eun;Sunup Lee;D. Jeon
  12. Introduction to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C. J. Chen
  13. Mater. Sci. Forum v.52/53 M. Yoshikawa
  14. Surf. Sci. v.86 C. Weissmantel;H. J. Erler;G. Reisse
  15. 대한금속학회 회보 v.6 no.4 이광렬;은광용
  16. Practical Surface Analysis by Auger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D. Briggs;J. C. Riviere;D. Briggs(ed.);M. P. Seah(ed.)
  17. Vacuum v.47 no.2 M. Ghamina;C. Jardin;D. Kadri;M. Bousla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