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ypography Style by Deconstructionism

해체주의(Deconstructionism) 경향의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신청우 (성신여대, 한국예술종합학교, 동덕여대)
  • Published : 1999.05.01

Abstract

It has been known that deconstruction has affected various fields as literature, architecture, an, film, industrial design, and so on. Especially, deconstruction has applied into a wide scope of the design related fields through diverse ways and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re is a great potentiality in the ways of it's expression with different styles. Deconstruction design has been approached in connection with post-modernism, deconstruction theory of J. Derrida and pluralistic post industrial society. In particular, it is obvious that deconstruction philosophy has deeply affected the fields of visual design and typography which are mostly communicated with symbols and text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deconstruction theory has been practically applied into the typography by analyzing the change of deconstruction typographic styles and explor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change.

문학, 건축 순수미술, 영화 산업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영향을 마치고 있는 해체주의(Deconstruction)는 디자인 분야에도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고 그 보여지는 모습도 매우 광범위하며 표현에 있어서도 많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해체주의 디자인은 포스트 모던한 상황과 다원화된 후기 산업사회, 데리다(J. Derrida)의 해체 이론과의 관계성을 통해 접근하고 있다. 특히 기호와 텍스트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타이포그래피와 시각 디자인 분야는 해체 철학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러한 철학적 영향을 받고 있는 해체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함으로써 해체 철학이 타이포그래피에 실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