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rodynamic Study in Normal Korean and Patients with Vocal Polyp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서의 공기역학적 검사

  • 서장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송시연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정유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김정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지덕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 이무경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음성언어연구실)
  • Published : 1999.06.01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 Recently, many people suffering from voice change visit otolaryngologist. So, it is important to study vocal function in patients with glottic or laryngeal disease. Aerodynamic investigation i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efficiency of the larynx in translating air pressure to acoustic sig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erodynamic data in patients with vocal polyp, compare this data with that of the normal Korean. Materials and Methods : In aerodynamic study, maximum phonation time, mean air flow rate, phonatory flow volume and subglottal pressure were tested by using Aerophone II voice function analyzer in 157 normal korean and 143 patients with vocal polyp, aged from 20 to 69 years randomly selected. Results and Conclusion : In vocal polyp, maximum phonation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ean air How rate was increased. Phonatory flow volu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ubglottic pressure was increased only in female with vocal polyp. These data will be served as basic data of evaluation after treatment and postoperative assessment of the patients with vocal polyp.

최근 음성장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대질환 내지는 후두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발성기능의 측정이 더욱 중요시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한국인 남자 81명, 여자 76명과 성대용종 환자 남자 78명, 여자 65명을 대상으로 공기역학적 검사 중 컴퓨터화된 측정기구와 기류저지법으로 최대발성지속시간, 발성기류량, 평균호기류율, 및 성문하압을 연령별 및 성별에 따라 평균치를 측정,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정상인 남자가 20.6${\pm}$6.34초, 여자가 17.2${\pm}$4.20초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13.1${\pm}$4.26초, 여자가 11.6${\pm}$4.43초였다. 평균호기류율은 정상인 남자가 170.0${\pm}$67.00ml/sec, 여자가 131.1${\pm}$49.03ml/sec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55.7${\pm}$216.52ml/sec, 여자가 183.24${\pm}$107.16ml/sec였다. 발성기류량은 정상인 남자가 3179.0${\pm}$648.94ml. 여자가 2144.1${\pm}$650.81ml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905.8${\pm}$1295.35ml, 여자가 1904.4${\pm}$1068.59ml였다 성문하압은 정상인 남자가 4.0${\pm}$1.88cm$H_2O$, 여자가 3.5${\pm}$4.20cm$H_2O$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4.2$\pm$1.48cm$H_2O$, 여자가 3.9${\pm}$1.12cm$H_2O$였다. 성대용종 환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최대발성지속시간은 감소하고, 평균호기류율은 증가하였으며, 발성기류량과 성문하압은 여자환자에서만 의미 있게 각각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 있어서 객관적인 공기역학적 검사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성대용종 환자의 음성이상에 대한 상태판정이나 치료 후 효과 판정에 기본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