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ustic Analysis of Classically Trained Western Singers

서양 음악을 전공으로 하는 성악인의 음향학적 분석

  • 정성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1.01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 : Classical singers are capable of masking abnormalities due to their high level of training and may present with apparent technical deficits rather than with obvious dysfunction. Therefore, some variations from expected normal laryngeal behavior may be present in trained classical singers.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for otolaryngologist to obtain a baseline assessment of their laryngeal function. Materials and Methods : Acoustic measurement including strobovideolaryngoscopy from 50 classically trained singers was done for this study, which was compared with the data from 20 untrained adults. Results and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50-healthy asymptomatic classical singers revealed an incidence of 50% abnormal strobovideolaryngoscopic findings, but their acoustic data was within normal limit despite the abnormal laryngeal findings. Therefore the author recommends that the classical singers need objective voice analysis and their baseline data should be used for the accurate diagnosis of the cause of voice dysfunction In classical singer whose baseline laryngeal behavior may be unusual.

1) 음성 장애를 호소하지 않는 성악인 50명중 여자는 59% 남자는 50%에서 후두스트로보스코피상 성대 병변이 발견되었다. 2) 성종별로는 소프라노에서 가장 성대 병변의 발생률이 높았다(66.7 %). 3) 최장발성 지속시간은 성악인의 경우 성대 병변에 관계없이 일반 정상인에 비해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특히 정상 성대를 가진 여자 성악인에서는 일반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4) 기본진동수, 기본진동수 표준편차, 기본진동수변 이들은 성악인이 일반인에 비해 안정되어 있었고, jitter. PPQ는 성악인이 성대 병변이 있더라도 일반인에 비해 감소되어 있었으며, 특히 남자 성악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고, Shimmer. APQ 역시 성악인이 성대 병변이 있더라도 일반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의 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