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ltrastructure and Dehydrogenase Activity on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rebral Nerve Cell in the Chick Embryo (II)

계배 대뇌의 신경세포 분화에 따른 탈수소효소 활성 및 미세구조(II)

  • Kim, Saeng-Gon (Dept. of Human Biolog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김생곤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인체생물학교실)
  • Published : 1999.12.01

Abstract

To investigate the changes during the differentiation of the cerebral neurons of the embryogenic day (ED) 9 and 10, investigat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cerebral neurons by Electromicroscope, also cerebral protein, the activity of dehydronases (LDH, MDH and SDH) and changes of adenosine triphosphate concentr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In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cerebral neurons, chromatin in 9 day-old chick embryos are comparatively distributed to even in neucleoplasm and could investigate very prominently that nuclear membrane is double-layer. Esperially,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and Golgi complex are developed well, also polysome is investigated and synaptic vesicles were scattered. In 10 day-old chick embryos, chromatin evenly spread and nuclear membrane could be differentiated prominently. Rough endoplasmic reticulum (RER) contain cytoplasm, mitochondria and Golgi complex are comparatively developed well. In 9 day-old cultural group of chick embryo cerebrum were separated 37 polypeptide bands and In 10 day-old cultural group of chick embryo cerebrum were separated 38 poly -peptide bands. The more culture time increase, the more the activity of dehydronases (LDH, MDH and SDH) increase. LDH activity was 11.07 (9th day) and 12.12 (10th day), MDH activity was 11.89 (9th day) and 13.44 (10th day) and SDH activity was 8.45 (9th day) and 10.52 (10th day) respectively. The ATP concentration degreesed 10 day-old cultural group than 9 day-old cultural group.

9, 10일 계배의 대뇌 신경세포 분화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신경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또한 대뇌 단백질,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및 ATP의 변화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뇌 신경세포의 미세구조의 변화는 발생 9일 계배의 염색질은 핵질내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해 있었으며 핵막은 2중막으로 아주 선명하게 구별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조면소포체와 Golgi복합체가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또한 polysome이 관찰되었고 synaptic소포들이 산재되어 있었다. 10일 배양군의 계배의 신경세포는 염색질이 고루 분포해 있었으며 핵막을 뚜렷이 구분할 수 있었다. 세포질을 포함한 조면소포체와 mitochondria 그리고 Golgi 복합체가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었다. 계배대뇌의 9일 배양군에서는 37개의 polypeptide band들이 분리되었고, 10일 배양군에서는 38개의 band가 생성되었다. 탈수소효소 활성도는 배양시간이 증가할 수록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는데, LDH의 활성도는 9일 배양시 11.07이며 10일 배양시에는 12.12이였고, MDH는 각각 11.89와 13.44로 나타났다. 그리고 SDH는 9일 배양군에서는 8.45이며 10일 배양군에서는 10.52의 활성을 보여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ATP의 변화는 10일 배양군$(2.10\times10^{-4}mol/ml)$이 9일 배양군$(2.50\times10^{-6}mol/ml)$에 비해 감소현상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