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지역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에 관한 연구 - 침엽과 구과의 형태적 특성을 중심으로 -

The Variation of Natural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S. et Z. in Kangwondo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and Cone -

  • Yi, Jae-Seon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ong, Jeong-Ho (Dept. of Forestry,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an, Sang-Sup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Wan-Geun (College of Forest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1999.06.30

초록

소나무 천연집단의 변이를 연구하기 위해 1994년 9월(月) 25~27일(日)과 10월(月)1~3일(日)강원도 지역의 13개 소나무 천연집단 [춘천시 효자동(plot 1), 인제군 신남면(plot 2), 인제군 북면(plot 3), 양양군 서면 A(plot 4), 양양군 서면 B(plot 5), 양양군 손양면(plot 6), 고성군 토성면(plot 7), 원주시 신림면(plot 8), 횡성군 둔내면(plot 9), 평창군 진부면(plot 10), 강릉시 소금강 입구(plot 11), 울진군 서면(plot 12), 평창군 미탄면 (plot 13)]을 선발하고 각 집단 별로 20개체를 대상으로 하여 침엽 및 구과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침엽의 특성에서 침엽의 길이는 69.3~91.9mm이고, 0.5cm당 거치수는 25.1~28.7개 이고, 기공 열의 수는 배축변에서 4.1~6.2줄이고 향축면에서 2.9~4.6줄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2. 구과의 특성에서 구과의 길이는 31.1~43.7mm이고, 직경은 20.0~24.1mm이었으며 집단간 및 집단내 개체간에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나타났다. 3. 배축면과 향축면의 기공열의 수는 정의 상관을 보였고, 구과의 길이와 직경간에도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거치수는 각 특성들과 부의 상관을 보였다. 4. 해안선으로부터의 거리는 침엽의 길이와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고,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해발고는 거치수와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두 면의 기공열의 수 및 구과 길이와는 부의 상관을 나타냈고, 침엽의 길이 및 구과 직경과는 어떠한 경향도 인정되지 않았다. 5. 평균연결법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거리지수 1.0에서 2개의 무리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I 그룹에 plot 1, 8, 12와 13이 속하였고 II 그룹에 plot 2, 3, 4, 5, 6, 7, 9, 10과 11이 속하였다. 거리지수 0.8 에서는 II 그룹을 다시 plot 2, 3, 9와 11의 군집과 plot 4, 5, 6, 7과 10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다.

For the study on the variation of Pinus densiflora S. et Z. natural populations. 13 stands were selected in Kangwondo region in 1994. They were located in Hyoja-Dong, Chunchon-Si [plot 1]; Sinnam-Myun, lnje-Gun [plot 2]; Buk-Myun, lnje-Gun [plot 3]; Seo-Myun, Yangyang-Gun [plot 4 and 5]; Sonyang-Myun, Yangyang-Gun [plot 6]; Toseong-Myun, Goseong-Gun [plot 7]; Synrim-Myun, Wonju-Si [plot 8]; Dunnae-Myun, Hoengsong-Gun [plot 9]; Jinbu-Myun, Pyungchang-Gun [plot 10]; Sogumgang, Kangneung-Si [plot 11]; Seo-Myun, Ulchin-Gun [plot 12]; and Mitan- Myun, Pyungchang-Gun [plot 13].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s and cones were investigated for twenty individual trees from each populati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needle characteristics, length, the number of serration. and the number of stoma row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69.3~91.9mm, 25.1~28.7 per 0.5cm, and 4.1~6.2 rows for abaxial side and 2.9~4.6 rows for adaxial side, respectively. 2. Among cone characters surveyed. length and diamet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opulations and between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They were 31.1~43.7mm and 20.0~24.1mm, respectively. 3.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number of stoma row of abaxial side and that of adaxial side. and between length and diameter of cone. But the number of ser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ll traits. 4. The distance from seash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edle length and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However, the altitud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erra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stoma row and cone length. 5. Cluster analysis using average linkage method for needle and cone characteristics showed two groups to Euclidean distance 1.0. They were group I consisting of plots 1, 8, 12, and 13 and group II of plots 2, 3, 4, 5, 6, 7, 9, 10, and 11. However, group II was divided again to Euclidean distance 0.8, that is a group including plots 2, 3, 9, and 11 and the other group comprising plots 4, 5, 6, 7, and 10.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