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Based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using Predictive Spatial Information Models

예측적 공간정보 모형을 이용한 Web 기반의 환경관리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 Kim, Joon Hyun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E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Han, Young Han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E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준현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생물공학부) ;
  • 한영한 (강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생물공학부)
  • Published : 1999.12.31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which can be operated on the basis of world wide web, as a topic of G7 project. Even though there should be lots of works remaining to achieve this goal, preliminary produc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integr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2) web based control engine, 3) surfac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4) subsurface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5) sewer and waterworks management system. The core methodology of the engine is the generalized multidimensional finite element matrices to depict the terms in the analysis of various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s.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rcView) and Visual Basic were extensively employed to construct GUI oriented web based engine. The developed systems were composed of very intense computer codes due to the necessity of combinatory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web based engine could be served as a decision tool for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projects in Korea.

본 연구는 G7 과제의 일환으로서, Internet상에서 운영될 수 있는 광역적 환경 관리 시스템의 개발에 목표를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예비적인 개발 성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1) 통합적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2) web 기반의 제어 엔진, 3) 지표수환경 관리 시스템, 4) 지하수환경 관리 시스템, 5) 하수도 및 시설 관리 시스템. 본 엔진의 핵심 방법론은 다양한 편미분 방정식의 해석에 있어서 각 미분항을 서술하는 범용적 다차원 유한요소 행렬이다. GUI 지향적인 web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공간 정보 관리 시스템(ArcView) 및 Visual Basic이 폭넓게 사용되었다. 개발된 시스템들은 환경 문제의 복합적인 관리의 필요성으로 인해 매우 집약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다. web 기반의 엔진은 환경관련 사업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정책 결정 도구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