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noff Characteristics of N and P by Rainfall in Paddy Field

논에서 강우에 의한 질소와 인산의 유출특성

  • Cho, Jae-Young (Department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Jin-Kyu (Department Agricultur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Son, Jae-Kwon (Department Agricultura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Han, Kang-Wan (Department Agricultural Chem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조재영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 최진규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손재권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농공학과) ;
  • 한강완 (전북대학교 농과대학 응용생물공학부)
  • Published : 2000.11.30

Abstract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unoff pattern of nutrients by rainfall from the paddy field located at the southwest of Korea. Effective rainfalls were 17.0 and 21.2 mm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The first runoff in paddy field was 6.3-33.7 mm (average=12.9 mm) and 5.9-12.5 mm (9.2 mm)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And runoff ratio was 0.59-1.36 and 0.57-0.86 for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espectively. During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the outflow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precipitation. Pattern of precipitation-runoff differed between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as affected by precipitation intensity, hydrological condition, and cropping. There existed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runoff loading of N and P and precipitation. During the irrigation and non-irrigation period, runoff loadings of N and 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ase of total suspended solids.

본 연구는 논에서 강우에 의한 질소와 인산의 유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농업이외의 오염원이 비교적 적은 전라북도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 일대 $5,000\;m^2$의 논을 시험포장으로 선정하여 1997년 5월 1일부터 1998년 4월 30일까지 12개월 동안 유출수 중 질소와 인의 시기별 함량변화 및 논에서의 유출수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논에서의 평균 유효유량은 관개기간 동안에 77.0 mm, 비관개기간 동안에는 21.2 mm로 나타났으며, 초기유출우량은 관개기간 동안 6.3-33.7 mm의 범위로 평균 12.9 mm, 비관개기간 동안 5.9-12.5 mm의 범위로 평균 9.2 mm로 산정되었다. 유출계수는 관개기간 중 0.59-1.36, 비관개기간 동안에는 0.57-0.86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관개기간과 비관개기간 사이에 영양물질의 유출특성에 차이가 없는지를 조사한 결과, 질소원과 인산원은 시기별로 유출량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부유물질은 시기별로 차이를 나타내고 없었다. 논에서 강우-유출 중 발생하는 유출수량을 이용한 유출부하량 예측 결과, 질소원은 유출부하량 예측이 가능하였지만, 입자태 성분의 형태로 유출이 발생하는 부유물질과 전인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