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Mapping of Liquefaction Hazared Potential at Port and harbor in Korea

국내 연안지역의 액상화 구역도 작성에 관한 연구

  • 강규진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인준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 박인준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박사후 과정) ;
  • 김수일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0.06.01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준서에서 채택하고 있는 수정 Seed와 Idriss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 액상화 가능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와 등가 액상화 안전율(FE)을 이용하여 액상화 가능성에 대한 구역도를 작성하였다. 이 두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등가 액상화 안전율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연안의 두지역에 대하여 Hachinohe 지진기록과 Ofunato 지진기록을 이용한 액상화 가능성 구역도를 FE를 이용하여 작성한 후 비교한 결과 Hachinohe 지진기록에 의한 액상화 가능성 구역도가 더 과소평가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E는 안전율의 형태로 표현되었기 때문에 구역도 작성과 해석에 편의 성을 제공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Journal of the Geotechnical Engineering Division v.104 no.GT4 Mapping liquefaction-induced ground failure potential Youd, T. L.;Perkins, D. M.
  2.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113 no.11 Mapping of liquefaction severity index Youd, T. L.;Perkins, D. M.
  3. Manual for Zonation on Seismic Geotechnical Hazard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4.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Ⅲ v.1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of western Puerto Rico Pawan, K. D.;Hoyos, R. L.;Macari, E. J.
  5. 항만 및 어항시설의 내진설계표준서 한국해양연구소
  6. 국내 연안지역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 구역도 작성에 관한 연구 강규진
  7.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15 no.6 국내 발생 지진규모를 고려한 액상화저항강도 산정 신윤섭;박인준;최재순;김수일